창사

창사

다른 표기 언어 Ch'ang-sha , 長沙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후난 성, 둥팅 호 남쪽
인구 4,592,566명 (2020년 추계)
면적 11,819㎢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창사는 둥팅 호 남쪽 50㎞되는 곳에 있으며, 샹장 강에 면해 있다. 1955년 신석기시대 유적이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청양이고, 한대 이래로 임상현으로 불렸다.
창사로 불리게 된 것은 589년이고, 그때 이곳은 담주의 주청소재지가 되었다. 당이 몰락한 후 초라는 독립왕조의 수도가 되었고, 뒤에 후당의 손에 넘어갔다. 명대와 청대에 창사는 부가 되었으며, 1644년 이후 성도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1918년 후베이 성 한커우까지 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창사는 더욱 발전했다. 오늘날 창사는 쌀·면화·목재·가축 등을 취급하는 주요항구이며, 한커우에서 광저우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상에 있는 집산지이기도 하다. 또한 정미 중심지이며 착유, 차·담배 건조, 육류가공 공장이 있다.

창사(Ch'ang-sha)
창사(Ch'ang-sha)

지구급(地區級) 시이며 1958년 이래 근교지역이 3개의 인민공사로 조직되어 있다. 창사는 둥팅 호[洞庭湖] 남쪽 50㎞되는 곳에 있으며, 샹장 강[湘江]에 면해 있다. 따라서 후난 성 남부 및 남서부로 가는 수로교통이 매우 발달해 있다.

1955년 신석기시대 유적이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BC 10세기 이곳은 양쯔 강[揚子江] 유역 남부에 있던 초(楚)나라의 중심지였다. 1935~36년 부근에서 초의 무덤 몇 기가 발굴되었는데, 거기서 초 문화의 중요한 증거물들이 출토되었다. 이 도시의 가장 오래된 이름은 청양(靑陽)이다.

진대(秦代:BC 221~206)에는 광둥 성[廣東省]으로 들어가는 진나라 원정군들의 중간 보급처였다. 한대(漢代:BC 206~AD 220) 이래로 임상현(臨湘縣)으로 불렸으며, 창사 군(郡)의 군청소재지였다. 이 현이 창사로 불리게 된 것은 589년이며, 그때 이곳은 담주의 주청소재지가 되었다. 그러나 그 당시에 광둥과 연결되는 교통의 대부분이 장시 성[江西省]의 간장 강[贛江] 유역으로 옮겨감에 따라 중요성이 상실되었다.

당(唐:618~907)이 몰락한 후에는 초(楚)라는 독립왕조의 수도가 되었으며, 뒤에 후당(後唐:923~936)의 손에 넘어갔다. 750~1100년 창사는 중요한 상업도시로 성장했으며, 인구도 10배로 늘었다. 명대(1368~1644)와 청대(淸代:1644~1911)에 창사는 부가 되었으며, 1644년 이후로 계속해서 성도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1918년 후베이 성[湖北省] 한커우[漢口]까지 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창사는 더욱 발전했다. 이 철도는 1936년 광둥 성 광저우[廣州]까지 연장되었다. 창사의 인구는 크게 늘어나기는 했지만 이 도시의 기본적인 성격은 여전히 상업도시였다. 도시 자체는 1938~39년에 발생한 화재로 크게 파괴되었으며, 1944년에는 일본의 수중에 넘어갔다.

1949년 이후 재건되었으며, 인구도 1940년대말에서 1980년대초 사이에 거의 3배로 증가했다. 지금 창사는 쌀·면화·목재·가축 등을 취급하는 주요항구이며, 한커우에서 광저우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상에 있는 집산지이기도 하다. 또한 정미 중심지이며 착유, 차 및 담배 건조, 육류가공 공장이 있다. 방직공장에서는 면사와 면직물을 생산하며, 염색과 날염도 한다. 농업용 화학약품과 비료·농기구·펌프기 등이 생산된다.

지도
창사

창사에는 대규모 화력발전소가 있으며, 인근 공업 중심지인 주저우[株洲]·샹탄[湘潭]과는 배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세 도시는 1970년대에 주요공업단지의 핵심으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에는 중공업도 약간 발전했다. 기계류의 생산, 특히 공작기계와 정밀기계의 생산이 중요해졌으며, 창사는 중국 알루미늄 공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창사에는 유서 깊은 학교와 학술원이 많이 있다. 후난대학교가 이곳에 있으며, 몇 개의 단과대학과 고등교육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