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표기 언어 Chou ,

요약 주대에 이르러 중국은 문명의 측면에서 볼 때 비교적 후진성에서 벗어나 가장 선진적인 지역으로 발전했다. 소가 끄는 쟁기와 철기·석궁·기마술을 이때 모두 도입했다. 또 처음으로 대규모 관개와 수리시설도 설치하여 화북평야의 농업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도로와 운하를 새로 건설하고 교통체계도 크게 개선했다. 상업이 발전하고 도시가 늘어났으며 화폐 주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젓가락도 사용하게 되었다. 은대에 원시적인 형태로 시작된 문자는 주대에 들어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철학도 크게 번성하여 유가·도가·법가가 이 시기에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때 만들어진 독자적인 정치제도와 문화적인 특징이 그후 2,000년간 중국 정치·문화의 원형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주(Chou)
주(Chou)

이때 만들어진 독자적인 정치제도와 문화적인 특징은 그후 2,000년간 중국 정치·문화의 원형이 되었다.

주는 (殷)의 서쪽 지금의 산시 성[陝西省]에서 은과 상당 기간 공존했다.

주는 은에게 조공을 바치면서 우호적으로 지내다가도 때때로 은과 전쟁을 벌였다. 그러던 중 주의 왕실에서 은을 정복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전통적으로는 BC 1122년에 주나라가 시작되었다고 하지만 결정적인 전쟁은 BC 1111년경에 벌어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은의 전영역에 대한 주의 통치권이 확립되기 전에 반란이 일어나 이를 진압하는 데 3년이나 걸리긴 했지만, 결국 주가 중국 전역에 대한 통치권을 확립하게 되었다.

주는 영역 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전지역에 대한 군주의 지배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각지에 봉건 제후국을 설치했다.

주의 수도는 원래 웨이허 강[渭河]이 황허 강[黃河]과 합류하기 전의 지점인 지금의 시안[西安] 부근에 있었다. 동부지역으로 팽창한 제국과 제후국들을 지원하기 위해 황허 강 중류지역에 있는 뤄양[洛陽]에 동도(東都)를 세웠다. 약 200년 후 20여 명의 제후들이 지방에서 세력을 점차 키워감에 따라 이러한 체제는 무너지기 시작했다.

BC 8세기에 기본적으로 거대한 가족체제였던 주의 정치체제는 크게 약화되기 시작했다. 여러 제후들이 주에 버금가는 힘을 가지게 되면서 유력한 제후들이 번갈아 패자(覇者)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BC 771년 이전의 주를 보통 서주(西周)라고 하며 BC 770년부터는 동주(東周)라고 한다. 동주는 춘추시대(BC 770~476)와 전국시대(BC 475~221)로 나누어진다. 춘추시대에는 많은 작은 제후국들간에 쟁탈전이 벌어졌으며, 전국시대에 들어서는 몇몇 강대한 제후국이 작은 제후국들을 병합하면서 패권을 둘러싸고 격렬한 전쟁을 벌였다.

결국 이들 제후국 가운데 하나였던 진(秦)이 나머지 제후국들을 정복하고 통일제국(BC 221~206)을 세웠다.

주대의 시각 예술품들은 제후국들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초기의 예술은 기본적으로 은대의 예술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특히 청동기에서 은대의 영향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주대의 청동기는 형태의 다양성이나 장식·무늬·주조기술에 있어서 은대의 청동기보다 수준이 훨씬 떨어진다.

공자와 노자가 활약한 동주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각 지방의 독창적인 전통이 뚜렷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장식무늬에서도 수렵장면, 전차(戰車), 말을 타고 있는 인물 등과 같은 그림들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주가 붕괴됨에 따라 예술과 문화도 각 지방의 제후국에서 나름대로 꽃피게 되었다. 이들 제후국의 예술과 문화는 자국의 독립에 대한 추진력을 키우려는 지방 특유의 이해관계에 따라 권장·활성화되었다.

주대에 중국은 문명의 측면에서 볼 때 비교적 후진성에서 벗어나 가장 선진적인 지역으로 발전했다.

소가 끄는 쟁기와 철기·석궁(石弓)·기마술을 모두 도입했다. 또 처음으로 대규모 관개와 수리시설도 설치하여 화북평야의 농업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도로와 운하를 새로 건설하고 교통체계도 크게 개선했다. 상업이 발전하고 도시가 늘어났으며 화폐의 주조가 활발했다. 젓가락도 사용하게 되었다. 은대에 원시적인 형태로 시작된 문자는 주대에 들어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철학도 크게 번성하여 유가·도가·법가가 이 시기에 나타났다.

후대의 중국인들은 중국 문명의 기원을 알기 위해 주에 관해 많은 연구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