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구

절구

다른 표기 언어 絶句

요약 절구에는 5언절구와 7언절구가 있다. 5언절구는 5언 4구 20자이고, 7언절구는 7언 4구 28자이다. 율시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생겨났으므로 근체시에 속한다. 제1구를 상을 일으키는 기구, 제2구를 1구의 뜻을 이어받는 승구, 제3구를 뜻을 살짝 전환하는 전구, 제4구를 1·2·3구의 뜻을 종합하여 묶는 결구라고 한다.
절구는 평측과 압운이 까다롭게 지켜진다. 운법에는 평기식과 측기식이 있는데, 5언절구는 측기식을 정격으로, 평기식을 편격으로 삼는다. 7언절구는 5언절구와 달리 평기식을 정격으로, 측기식을 편격으로 삼는다.
절구는 말은 짧으나 뜻은 깊어서 함축부진의 맛이 있는 한시체이다. 한국의 경우 최치원의 〈추야우중〉·〈도중작〉을 5언절구와 7언절구의 효시작으로 삼는다.

5언절구와 7언절구가 있다. 5언절구는 5언 4구 20자이고, 7언절구는 7언 4구 28자이다. 육조인의 시집에 "5언 4구의 시를 절구 혹은 단구·절구라고 한다"라는 말이 있어 절구의 체는 한(漢)·위(魏)의 악부에서 싹터 당대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율시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생겨났으므로 근체시에 속한다. 제1구를 상을 일으키는 기구, 제2구를 1구의 뜻을 이어받는 승구, 제3구를 뜻을 살짝 전환하는 전구, 그리고 제4구를 1·2·3구의 뜻을 종합하여 묶는 결구라고 한다.

구의 구성은 ① 1·2구는 산구로써 기(起)하고 3·4구는 대구로써 결한 경우, ② 1·2구 대구로써 기하고 3·4구 산구로써 결한 경우, ③ 4구 모두 대구를 쓰는 경우, ④ 4구 모두 산구를 쓰는 경우가 있다.

절구는 평측과 압운이 까다롭게 지켜진다. 5언절구의 운법에는 평기식과 측기식이 있다. 측기식을 정격으로, 평기식을 편격으로 삼는다. 그런데 측기식이든 평기식이든 모두 제2구와 제4구의 제5자에 같은 운자를 압운하는 것이 정격이다. 제1구에도 같은 운자를 압운하는 경우 제1구의 끝 3자가 측기식에서는 '측평평'이, 평기식에서는 '측측평'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구의 제2자와 제4자는 같지 않은 것, 즉 제2자가 측자이면 제4자는 평자로 해야 하는 이사부동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측기식과 평기식의 정격과 실제 작품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평자 ●측자 ◑평측 다 좋은 것 △압운이 들어 있는 것).

7언절구는 300년간 성행했던 당대의 신체시로 당시문학의 정수였다. 전체 작가가 2,200여 명이나 되며 만당으로 내려오면서 기교적으로 흘러 7언절구의 향기를 잃게 되었다. 평기식과 측기식이 있는데 5언과 달리 평기식을 정격으로, 측기식을 편격으로 삼는다.

5언보다 더 평측과 압운이 까다로운데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① 5언에서 말한 이사부동을 지켜야 한다. ② 매구 제2자와 제6자는 같이 하는 것, 즉 제2자가 평이면 제6자도 평이어야 하는 이육대를 지켜야 한다. ③ 제4자의 평이 측과 측 사이에 낀 고평과, 제4자의 측이 평과 평 사이에 낀 고측을 피한다. 제2자와 제6자의 고평·고측은 크게 나무라지 않는다. ④ 측기식의 제3구 밑의 3자가 고평이 될 때는 고측이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⑤ 범죄, 즉 제목이 〈명월 明月〉일 때 4구 중에 명자나 월자가 들어가는 것을 삼가해야 한다. ⑥ 압락이라 하여 제1구에 압운하지 않는 경우, 제1구를 평기식의 경우 '◑○◑●○○●'로, 측기식의 경우 '◑●◑○○●●'로 한다.

절구는 조(調)의 고아함, 운의 청고함, 뜻의 심오함을 자연스럽게 담아야 한다. 말은 짧으나 뜻은 깊어서 함축부진의 맛이 있는 한시체이다.

한국의 경우 최치원의 〈추야우중 秋夜雨中〉·〈도중작 途中作〉을 5언절구와 7언절구의 효시작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