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표기 언어

요약 승려에게 공양을 올리는 불교의식.

재의 본뜻은 신업·구업·의업을 정제하여 악업을 짓지 않음을 말하는데, 후대에 뜻이 달라져 승려의 식사, 승려에게 식사를 공양하는 의식, 또는 그러한 의식을 중심으로 한 법회나 상사에 관련된 의식법회를 뜻하게 되었다.

승려에게 공양하는 의식은 일찍이 인도에서부터 행해졌으며, 중국에서는 양무제(梁武帝) 때 무차대회를 비롯하여 많은 재가 행해졌다.

한국에서도 재에 관한 기록이 〈고려사 高麗史〉에 전한다. 재는 특별한 의식이나 격식 없이 간단한 예불이 행해졌지만, 그 본래의 뜻이 전화되어 점차 각종 의식절차를 갖추면서 여러 가지 기복 의식으로 전개되었다. 고려시대의 인왕백고좌도량·금광명경도량 등의 호국법회나 각종 기념행사에서 재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의식의 형태를 달리하면서 재 본래의 뜻보다는 법회의 의식이 중요시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적 행사는 쇠퇴하고 민간에서 각종 재가 성행하게 되었다. 그 가운데 수륙재·생전예수재·영산재 등이 대표적인데, 대체로 산 사람이나 죽은 이의 복을 비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