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올림픽 대회

장애인 올림픽 대회

다른 표기 언어 Paralympic Games

요약 신체적 장애를 가진 선수가 참가하는 올림픽 대회. 패럴림픽이라고도 부른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가 주관하며, 올림픽 대회 개최 도시에서 같이 개최된다.

목차

접기
  1. 정의
  2. 기원
  3. 참가 선수
장애인 올림픽 대회
장애인 올림픽 대회

정의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올림픽 대회.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 이후로 올림픽 대회가 열린 그해 개최 도시에서 열린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공식 인정을 받았으며,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가 주관하는 대회이다.

기원

1948년 영국의 루드윅 구트만 경(Sir Ludwig Guttman)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척추 상해를 입은 군인들의 재활을 목적으로 운동회를 연 것에서 유래했다. 첫 운동회는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과 같은 날 개최되었고 '1948년 휠체어 경기'라 명명되었다. 두번째 운동회는 1952년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 참전 군인들이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대회로 자리잡았다.

이후 1960년 로마에서 개최된 운동회에서 참전병 이외의 다른 장애인들도 함께 참여하게 되었으며, 23개국 4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큰 대회로 발전했다. 이 대회가 제1회 장애인 올림픽으로 알려졌다. 이후 1964년 장애인국제스포츠위원회(ISOD, International Sports Organization for the Disabled)가 발족되었으며, 이 기구는 1989년 패럴림픽 대회를 관장하고 조직하는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로 발전하게 되었다.

참가 선수

IPC는 선수들의 신체적·시각적·지적 장애에 따라 근력 손상, 운동 수동 범위의 손상, 사지의 손실 및 결핍, 다리 길이의 차이, 저신장, 긴장과도, 운동실조, 아세토시스, 시각 장애, 지적 장애 등 10개의 손상 유형으로 분류했다. 시각 장애의 경우 시력 가이드와 선수가 한 팀이 된다. 지적 장애의 경우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패럴림픽에서는 참가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스페셜올림픽대회(Special Olympics)에 참가할 것이 권장된다.

하계 패럴림픽 종목으로는 골볼, 뇌성마비 7인제 축구, 보치아, 사격, 사이클, 수영, 승마, 시각 장애인 5인제 축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좌식 배구, 탁구, 휠체어 농구, 휠체어 럭비, 휠체어 테니스, 휠체어 펜싱 등이 있으며, 동계 패럴림픽 종목으로는 노르딕 스키(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레지 하키, 알파인 스키, 휠체어 컬링 등이 있다.

2016년 하계 패럴림픽은 장애인 올림픽이 개최된 역사상 처음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되었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9월 7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되었다. 전 세계 159개국 4,342여 명의 선수가 출전하며, 22개 종목 528개 세부종목에서 경기가 치러졌다. 이란의 양궁선수인 자라 네마타는 같은 해 열린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동시에 참가한 최초의 선수로 기록되었다. 한편 러시아 선수들의 도핑 문제가 불거져 결국 이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 중국이 금메달 107개, 은메달 81개, 동메달 51개로 1위를 차지했고, 영국이 금메달 64개로 2위, 우크라이나가 금메달 41개로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