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

인식

다른 표기 언어 knowledge , 認識

요약 인식은 인식과정의 결과로서, 넓은 의미로는 인간 지식의 총체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일정 범위의 대상에 대한 지식을 뜻한다.
인식의 토대와 출발점은 어떤 신비한 인식충동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실천과 실천적 욕구이다. 특히 생산과 관련된 실천 및 욕구가 인식의 발전 방향을 규정하며, 인식의 중요한 과제들도 실천에서 나온다. 자연대상의 속성과 자연법칙에 대한 인식은 인간이 자연력을 생산에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를 이룬다. 또한 사회 발전의 법칙에 대한 인식은 인간으로 하여금 사회적 생활과정을 의식적, 계획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모든 인식은 직간접적으로 결국 이와 같은 실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이바지한다. 이렇듯 인식은 실천 속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그것이 어느 정도 객관적 실재와 일치하는지가 입증된다. 실천은 인식의 정당성을 판가름하기 위한 최종적이고 결정적인 기준이다.

인식
인식

인식은 인식과정의 결과로서, 넓은 의미로는 인간 지식의 총체를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일정 범위의 대상에 대한 지식을 뜻한다.

인식의 토대와 출발점은 어떤 신비한 인식충동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실천과 실천적 욕구이다. 특히 생산과 관련된 실천 및 욕구가 인식의 발전 방향을 규정하며, 인식의 중요한 과제들도 실천에서 나온다. 자연대상의 속성과 자연법칙에 대한 인식은 인간이 자연력을 생산에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를 이룬다.

또한 사회 발전의 법칙에 대한 인식은 인간으로 하여금 사회적 생활과정을 의식적·계획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모든 인식은 직접적·간접적으로 결국 이와 같은 실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이바지한다. 이렇듯 인식은 실천 속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그것이 어느 정도 객관적 실재와 일치하는지가 입증된다. 실천은 인식의 정당성을 판가름하기 위한 최종적이고 결정적인 기준이다.

인간이 객관적 실재를 인식해나가는 과정은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지루한 과정이다. 개별적 인식과정이나 인간 인식의 총체를 막론하고 인식은 현상에서 본질로, 즉 사실의 수집·비교·분류에서 그 사실의 저변에 놓여 있는 일반적이고 필연적인 내적 연관, 곧 법칙의 발견으로 나아간다. 인식은 그 발전과정에서 끊임없이 한계에 부딪친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역사적으로 제약된 것이다. 인식은 사회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발전수준, 특히 과학적 도구와 장치 그리고 이미 도달된 지식수준에 의존한다. 따라서 인식은 계속 변화한다. 인식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절대적 진리가 확보되어 궁극적으로 완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늘 새로이 나타나는 상대적 진리를 인식함으로써 절대적 진리에 가까이 다가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