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 강

인더스 강

다른 표기 언어 Indus River
요약 테이블
위치 티베트 남서부 카일라스 산 근처에서 발원
면적 1,165,000㎢
대륙 아시아
국가 인도, 중국, 파키스탄
길이 3,200㎞

요약 인더스 강은 티베트 남서부 해발 4,900m 지점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히말라야 산맥 기슭을 따라 흐르며 잠무카슈미르 지역을 가로지른다. 히말라야 산맥 본줄기와 카라코람 산맥 등에서 눈과 빙하가 녹은 물을 싣고 흘러드는 여러 강들과 합류한 뒤 카슈미르 서부 경계를 가로질러 파키스탄으로 흘러들어간다.
총유역면적은 116만 5,500㎢이며 연평균유량은 나일 강의 2배에 이른다. 비가 오는 몬순 기간에 유량이 가장 많아져 홍수가 일어난다. 많은 어족이 서식하고 있어 민물어업이 발달했으며, 인더스 강을 관개용수로 이용하여 파키스탄의 반건조 평야에서도 일찍부터 농사를 지었다. 1880년경까지 운행 선박이 많았으나 철도가 들어서고 관개망이 확장되면서 오늘날에는 하류 쪽에서 소형 선박들만 볼 수 있다.

인더스 강(Indus River)
인더스 강(Indus River)

총길이는 2,900㎞이다. 인더스 강은 티베트 남서부 해발 4,900m 지점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히말라야 산맥 기슭을 따라 흐르며 잠무카슈미르 지역을 가로지른다. 히말라야 산맥 본줄기와 카라코람 산맥, 낭가파르바트 대산괴, 코히스탄 산맥 등에서 눈과 빙하가 녹은 물을 싣고 흘러드는 자스카르·시오크·훈자·길기트·아스토르 강을 비롯한 여러 강들과 합류한 뒤 카슈미르 서부 경계를 가로질러 남쪽 및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파키스탄으로 흘러들어간다.

파키스탄의 산간고지를 타고 흐르던 물줄기는 스와트·하자라 지역 사이를 빠른 속도로 흘러 솔트 산맥을 가로지른 다음, 반건조지대인 펀자브 평원으로 들어서며, 이곳에서 펀자브('5개 강이 흐르는 땅'이라는 뜻) 동쪽에서 흘러들어오는 젤룸·체나브·라비·베아스·수틀레지 강 등 유명한 5개 지류들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들 강줄기와 합류한 후 인더스 강은 폭이 넓어지고 유속도 느려져 진행 도중 방대한 양의 실트를 퇴적시킨다. 강 주위에는 홍수를 막기 위해 쌓은 둑이 있지만 종종 무너져 피해를 낸다. 인더스 강은 그후 타타 부근에서 삼각주를 형성하면서 여러 분류로 나뉘어 흐르다가 카라치 남동쪽의 여러 지점을 거쳐 아라비아 해로 들어간다.

인더스 강의 주류들은 눈이 녹아 형성되기 때문에 유량이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겨울에 가장 적고, 봄·여름에 증가하다가 비가 오는 6~10월 몬순 기간에 가장 많아져 홍수가 일어난다. 유속은 강이 산기슭의 언덕으로부터 벗어나는 곳에서 가장 빠른데 이는 평야에서 인더스 강으로 유입되는 지표수가 거의 없는 대신 상당량의 물이 증발하거나 땅속으로 스며들어 유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인더스 강에는 이곳의 식용 어족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팔라라는 물고기를 비롯해 많은 어족이 서식하고 있어 파키스탄 신드 주에 있는 타타·코트리·수쿠르를 중심으로 민물어업이 발달했다. 또한 인더스 강을 관개용수로 이용하여 파키스탄의 반건조 평야에서도 일찍부터 농사를 지을 수 있었다.

1850년 이후 영국 식민당국이 세계 최대규모로 꼽히는 현대적인 운하식 관개망을 만들었으나 운하의 범람 또는 바닷물의 역류로 농토에 많은 피해를 주어 신중히 운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1880년경까지는 인더스 하계(河系)를 운행하는 선박이 꽤 있었으나 철도가 들어서고 관개망이 확장되면서 차츰 사라지기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하류 쪽에서 소형 선박들만 볼 수 있을 뿐이다.→ 인더스 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