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안자야

이리안자야

다른 표기 언어 Irian Jaya
요약 테이블
위치 인도네시아 동부, 뉴기니섬 서부 지역
인구 4,363,869명 (2014 추계)
면적 420,540㎢
언어 인도네시아어
대륙 아시아
국가 인도네시아

요약 인도네시아의 주.
(영). West New Guinea/West Irian. Irian Djaya라고도 씀. 옛 이름은 Irian Barat.

이리안자야(Irian Jaya)
이리안자야(Irian Jaya)

뉴기니 섬의 서반부와 그 앞바다의 섬들(야펜·아디·눔포르·와이게오·바탄타·코피아우·살라와티·미소올·요스수다르사 등) 및 스호우텐 제도, 라자암파트 제도로 이루어져 있다.

이리안은 인도네시아어로 뉴기니 섬을 가리키며 바라트는 서쪽, 자야는 빛나는 또는 승리한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리안자야 주는 서쪽으로 세람 해와 반다 해, 남서쪽으로 아라푸라 해, 북쪽으로 태평양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파푸아뉴기니와 이웃한다.

1511년 포르투갈인들이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뉴기니 섬을 발견한 이래 스페인·네덜란드·독일·영국의 탐험가들이 연이어 이리안자야 지역을 거쳐 갔다. 영국인들은 1793년 마노콰리 부근에 식민지를 개척하려 했으며, 네덜란드인들은 1828년 뉴기니 섬의 서반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으나, 그들의 첫번째 상임 행정기관은 1898년에야 팍파크와 마노콰리에 설치되었다.

1924년 이슬람 공산주의자인 하지 미스바츠가 네덜란드인들에 의해 이곳으로 추방되었으며, 1927년에는 자바 섬에서 폭동사건이 일어난 후 약 1,300명의 공산주의자들이 이곳의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다.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이리안바라트 북부지방을 점령했으나 1944년에 연합군이 홀란디아(지금의 자야푸라)를 되찾았다. 전쟁이 끝난 후 통치권은 다시 네덜란드인들의 손에 넘어갔으며, 1949년 인도네시아가 독립할 때까지 이들의 지배가 계속되었다.

1962년 국제연합(UN) 관리하에 놓였다가 이리안바라트의 장래를 결정짓기 위한 국민투표를 1969년까지 실시한다는 조건 아래 1963년 인도네시아에 이양되었다. 1969년에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 이 지역은 이리안자야라는 인도네시아의 한 주(州)가 되었고, 주도는 자야푸라로 정해졌다.

파푸아뉴기니의 중부 산악지대를 이루는 산맥의 연장부에 위치한 마오케 산맥이 이리안자야 주의 중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며, 약 640㎞에 걸쳐 뻗어 있다. 최고봉은 해발 5,030m인 자야 산이며, 가장 높은 몇몇 봉우리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꼭대기가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다. 북부에는 북서쪽으로 흐르는 맘베라모 강의 지류들인 타리쿠·타리타투 강 유역이 동서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이 유역과 북부 해안의 저지대 사이에 반레스 산맥과 호티르 산맥(해발고도 2,272m)이 놓여 있다. 서부에는 대부분이 저지대인 봄베라이 반도가, 북서부에는 산이 많은 도베라이(네덜란드어로는 Vogelkop로 '새의 머리'라는 뜻) 반도가 있다. 마오케 산맥의 남쪽 연장지대는 배수상태가 좋지 않은 광활한 늪지대로 디굴·풀라우·브라자·발리엠·로렌·아르망빌·블루멘·세마라·마피 강이 흐른다.

고산지대에는 거친 풀로 뒤덮인 골짜기들이 산재해 있는데, 이곳에서는 열대우림 식물도 흔히 볼 수 있다. 중앙 산맥지대의 북쪽 저지대들은 빽빽한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다. 수종은 사고야자·코코넛·니파야자·백단·흑단·고무나무·카수아리나·히말라야삼목·빵나무·망그로브 등 다양하며, 홍수림에는 난초와 양치류도 무성하다. 야생동물로는 유대류와 단공류(單孔類) 동물, 뱀, 악어, 나비, 화식조, 극락조류, 매거포드류, 정원사새, 개미핥기, 날여우박쥐, 야생개, 멧돼지, 주머니쥐, 거북, 목도리도마뱀, 수생쥐, 나무타기캥거루, 깃털왜가리, 청비둘기, 앵무새 등이 서식한다.

주민들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여, 코코아·어류·육두구종자·쌀·조개·목재·야채·코프라·코팔 등을 생산한다. 제재업·정미업·조선업 등의 산업과 목각, 가죽 무두질, 바구니·매트 짜기, 수직기를 이용한 직조 등의 수공예가 이루어진다.

템바가푸라에는 세계 최대의 구리광상이 있다. 끊임없는 게릴라전에도 불구하고 이들 광상의 개발사업이 중남부 해안의 코케나우 부근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이곳에서 채굴된 광석은 아마페리에서 선적된다. 석유가 채취되며 금과 우라늄 등이 채광된다. 1980년대초에는 니켈과 석유, 또다른 구리광상을 찾는 광범위한 탐사작업이 실시되기도 했다. 원유, 코프라, 코팔, 악어 가죽, 조개, 부스러기 금속, 육두구의 가루 및 종자, 수지, 목재 등이 수출된다.

몇 안 되는 2급 해안도로와 강들을 오가는 작은 배, 항공편들을 통해 소롱·마노콰리·이난와텐·팍파크·비아크·나비레·코케나우·에나로탈리·메라우케·와메나·자야푸라 등 주 내부의 여러 지역이 연결된다.

주민은 뉴기니 섬 서부의 원주민인 멜라네시아인들과 니그리토인·파푸아인·유럽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셀레베스 섬, 자바 섬, 몰루카 제도 등지에서 온 이주민들은 해안지방과 강어귀 또는 주변 섬들에서 상인과 어부로 정착했다. 지역에 따라 수많은 종류의 언어가 쓰이는데 겨우 몇 사람만이 사용하는 말도 있다. 주민 대부분이 토착 애니미즘을 신봉하지만 이슬람교도와 그리스도교도 들도 약간씩 있다.

지도
이리안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