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묘왜변

을묘왜변

다른 표기 언어 乙卯倭變

요약 삼포왜란 이래 조선이 일본에 대한 세견선을 감축하고 교역량을 줄이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 쓰시마섬 등지의 왜인들이 1555년 5월 11일 배 70여 척을 타고 전라도 영암의 달량포와 이포에 상륙해 노략질을 했다. 이에 전라도 병마절도사 원적이 군사를 거느리고 달량포로 출전했으나 왜구에게 피살되고 정예군사가 붕괴했다. 그러자 왜군은 5월 하순까지 장흥·강진·진도 등을 짓밟으며 다시 영암으로 침입했다. 전주부윤 이윤경이 군사를 이끌고 영암으로 가서 남치훈 등과 힘을 합하여 5월 25일에 비로소 왜구를 몰아냈다. 당시 조선의 국방체제인 진관체제가 기능을 잃어 군사 지휘체계가 문란했고, 봉수마저 제구실을 하지 못하는 바람에 같은 해 4월에 이미 왜구의 침입 기미를 탐지했으면서도 큰 변란을 겪었다.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이 일어난 이래 조선 정부가 일본에 대한 세견선(歲遣船)을 감축하여 교역량을 줄임으로써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 쓰시마섬[對馬島] 등지의 왜인들이 1555년 5월 11일 배 70여 척을 타고 전라도 영암(靈巖)의 달량포(達梁浦)와 이포(梨浦)에 상륙하여 노략질을 했다. 가리포(加里浦) 수군첨사(水軍僉使) 이세린(李世麟)으로부터 보고를 받은 전라도 병마절도사 원적(元積)은 장흥부사 한온(韓蘊), 영암군수 이덕견(李德堅)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달량포로 출전했으나 오히려 왜구에게 포위되어 원적과 한온은 항복했다가 피살되고 이덕견만 탈출했다. 이로써 전라도 병마절도사 휘하의 정예군사가 붕괴하자 침입한 왜구의 횡행을 막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왜구는 5월 하순까지 별 저항을 받지 않고 어란포(於蘭浦)·장흥(長興)·강진·진도(珍島) 등을 짓밟으며 다시 영암으로 침입했다. 이에 정부는 금군 등 서울의 정예군사를 동원함과 아울러 산직(散職) 무신과 한량(閑良)·공사노(公私奴)·승도(僧徒) 등을 강제 징발하는 한편, 호조판서 이준경(李浚慶)을 전라도 도순찰사, 김경석(金慶錫)·남치훈(南致勳)을 좌·우도 방어사로 임명하여 이들을 토벌하도록 하고, 삼포 왜인의 준동을 방지하고 침입한 왜구의 진공을 막도록 경상도와 충청도에도 각각 장수를 파견했다. 후원군이 도착하자 전주부윤 이윤경(李潤慶)이 군사를 이끌고 영암으로 가서 남치훈 등과 힘을 합하여 5월 25일에 적을 크게 격파함으로써 비로소 왜구를 몰아낼 수 있었다. 왜구는 퇴각하는 길에 녹도를 습격한 데 이어 6월 27일에 제주도를 습격했으나, 상륙한 왜구를 목사 김수문(金秀文)이 군사를 이끌고 격멸했다. 당시 왜구는 중국과의 교역을 통해 견고한 전함을 만들어 사용하고 총통(銃筒) 제작 기술 및 사용법을 익혀서 전력이 강화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조선에서는 지방 수군과 정병(正兵)에 대한 방군수포가 공공연히 행해져 실제 근무하는 병력이 얼마 되지 않는 데다가 그나마 가난한 농민들뿐이었으며 제대로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국방체제인 진관체제(鎭管體制)가 기능을 잃어 군사 지휘체계가 문란했고, 봉수(烽燧)마저 제 구실을 하지 못하여 적침에 대비할 수 없었다. 그 결과 같은 해 4월에 이미 왜구 침입 기미를 탐지했으면서도 큰 군사적 실패를 겪었던 것이다. 한편 같은 해 10월 쓰시마 도주[對馬島主] 소오[宗義調]가 이들 왜구의 목을 잘라 보내어 죄를 사과하고 세견선의 증가를 호소해오자 정부에서 이를 승락, 세견선을 5척 증가시켜 임진왜란 전까지 계속되었다. 또한 이 전란은 비변사가 상설기관으로서의 위치를 굳히는 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