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자보

율자보

다른 표기 언어 律字譜

요약 한국 전통음악에서 음의 높낮이를 12율명의 첫자로 표시한 문자보.

율자보는 중국의 기보법으로 고려 예종 때 송에서 보내준 대성아악과 함께 그 음악을 기보하기 위해 들여왔다. 율자보에는 율명만 표시하기 때문에 중국계 아악과 같은 1자1음식 음악에는 큰 불편이 없지만, 1자다음식인 향악을 기보하는 데는 음의 시가를 표시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세종실록〉 악보 이후 지금까지 정간보와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악학궤범〉에는 순수한 율자보가 보인다.

율자보
율자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