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론

유심론

다른 표기 언어 spiritualism , 唯心論

요약 이렇게 정의할 경우, 유심론은 매우 다양한 철학 견해를 폭넓게 포괄할 뿐만 아니라 무한한 인격신, 영혼불멸, 지성과 의지의 비물질성 등의 관념을 받아들이는 모든 철학에 적용된다. 또 유심론은 조야한 유물론적 해석의 한계를 넘어서 있는 우주의 유한한 힘이나 우주 정신 등의 관념들에 대한 믿음도 포함한다. 유심론 자체는 물질, 최고 존재의 본성, 우주적 힘의 본성, 영적 실재 자체의 정확한 본성 등에 관해서는 전혀 말하지 않는다. 데카르트는 영혼을 육체와 구별하지만 육체 안에서 움직이는 활동성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았으며, 라이프니츠는 정신적 단자들로 이루어진 유심론적 세계를 주장했다. 이원론과 일원론, 유신론과 무신론 등 많은 철학적 관점들이 물질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면서 물질보다 우위에 있는 실재를 인정하는 한 유심론과 양립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할 경우, 유심론은 매우 다양한 철학 견해를 폭넓게 포괄할 뿐만 아니라 무한한 인격신, 영혼불멸, 지성과 의지의 비물질성 등의 관념을 받아들이는 모든 철학에 적용된다. 또 유심론은 조야한 유물론적 해석의 한계를 넘어서 있는 우주의 유한한 힘이나 우주 정신 등의 관념들에 대한 믿음도 포함한다.

유심론 자체는 물질, 최고 존재의 본성, 우주적 힘의 본성, 영적 실재 자체의 정확한 본성 등에 관해서는 전혀 말하지 않는다.

BC 5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핀다로스는 자신이 지은 송가에서 육체라는 집에 방문객으로 잠시 머물다가, 죽은 뒤에 그 원천으로 돌아가 보상이나 처벌을 받게 되는 영혼은 신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함으로써 유심론적 오르페우스 신비주의의 본질을 자세히 설명했다. 플라톤은 그의 영혼관 때문에 유심론자라고 할 수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능동지성과 수동지성을 구분하고 신을 순수한 활동성(그 자체를 아는 지식)으로 인식한 점에서 유심론자였다.

핀다로스
핀다로스

종종 근대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르네 데카르트는 영혼을 육체와 구별하지만 육체 안에서 움직이는 활동성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았다. 다재다능한 독일의 합리론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정신적 단자들로 이루어진 유심론적 세계를 주장했다. F. H. 브래들리, 조사이어 로이스, 윌리엄 어니스트 호킹 등 관념론자들은 개별자들을 우주정신의 단순한 측면이라고 보았다. 이탈리아 행동주의 철학의 창시자 조반니 젠틸레에게는 자기의식의 순수활동성이 유일한 실재이다. 프랑스의 직관주의자 앙리 베르그송이 갖고 있던 인격신에 대한 확고부동한 믿음은 정신적인 우주의 힘에 대한 믿음과 결합되어 있다.

현대 인격주의는 우주를 설명하면서 인격체와 인격을 우위에 둔다. 특히 유심론자로 알려진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라벨과 르네 르 센은 현대철학이 영혼에 적절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천명하기 위해 1934년부터 〈영혼의 철학 Philosophie de l'esprit〉을 발간하기 시작했다. 이 잡지는 철학적으로 특정 견해를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인격과 직관주의의 형식들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이원론과 일원론, 유신론과 무신론, 범신론, 관념론 등 많은 철학적 관점들이 물질로부터 독립되어 있으면서 물질보다 우위에 있는 실재를 인정하는 한 유심론과 양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