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족

위구르족

다른 표기 언어 Uighur 동의어 회흘, 回紇, 회골, 回鶻

요약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아시아 내륙지방의 민족.

위구르족(Uighur)
위구르족(Uighur)

예전에 중국에서는 회흘(回紇)·회골(回鶻)이라고 불렀다. 대부분은 중국 북서부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러시아 연방의 중앙 아시아 지역에 살고 있다. 위구르라는 이름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는데, 중세시대 아시아 내륙지방에 위구르 왕국이 존재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중세의 사람들과 지금의 위구르족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 같지는 않다. 20세기 말엽 중국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은 600만 명 이상이며, 이들의 대부분은 신장 지역에 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지역에도 20만 명 정도가 살고 있다.

대부분의 위구르족은 정착생활을 하며, 계곡에 형성되어 있는 오아시스와 톈산 산맥[天山山脈], 파미르 고원 및 이들과 이어진 산들의 낮은 구릉지에 거주한다. 이들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으로서 농업용수를 조달하기 위해 관개작업을 해야 한다. 주요농작물은 밀·옥수수·수수 등이다. 주요 산업용 농작물인 목화가 이 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왔다. 가축도 일부 키우고 있으며, 신장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어 이 지역에 산업경제를 위한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구르족의 주요도시로는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의 주도인 우루무치[烏魯木齊], 키르기스스탄과 중국의 국경지역에 있는 고대무역 중심지였던 카슈가르가 있다. 근세기에 들어 위구르족은 19세기 베이징[北京] 중앙정부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던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정치적인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들의 고유한 사회조직은 마을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결혼도 한 마을 안에서 이루어지며, 각 마을마다 마을의 제반 업무를 처리하는 조직이 있다. 아시아 내륙에 주거하는 대부분의 투르크 제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역시 수니파(派) 이슬람교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