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종

원종

다른 표기 언어 元宗 동의어 전, 倎, 식, 植, 정, 禎, 일신, 日新
요약 테이블
출생 1219(고종 6)
사망 1274(원종 15)
국적 고려, 한국
종교 불교
재위 1259년~1274년
시호 순효대왕(順孝大王)
능묘 소릉(韶陵)

요약 고려 제 24대 왕이자 고종의 맏아들로 이름은 식, 자는 일신. 왕위에 오른 이후 왕권의 회복과 신장을 위해 몽골 황실에 접근하는 등 친선정책을 취했으며 임연으로 하여금 김준을 제거하게 한 뒤, 다시 임연과 세력 다툼을 벌이다 폐위되었다. 동생 안경공 창이 왕위에 올랐으나 원의 도움으로 다시 복위했다. 국왕 폐립의 진상을 밝히라는 세조의 요구로 대도에 간 원종은 임연을 제거하기 위한 군대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임연과 그의 아들 임유무가 죽은 이후 태자와 함께 돌아와 개경환도를 실현했으나 몽골에의 종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름은 식. 초명은 전. 자는 일신. 고종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안혜태후 유씨이다. 비는 장익공 김약선(金若先)의 딸인 정순왕후인데, 충렬왕이 즉위하여 순경태후로 추존했다. 1235년(고종 22) 태자가 되었으며, 1259년 강화를 청하기 위해 몽골에 갔다가 그해 고종이 죽자 이듬해 귀국하여 즉위했다.

당시 고려는 1258년의 정변으로 최씨무인정권이 종말을 고하고 형식적으로는 왕정복고가 이루어졌으나, 실권은 정변의 주체인 김준(金俊)·유경 등이 장악하고 있었다. 한편 자랄타이[車羅大]가 이끄는 몽골군이 출륙환도와 태자입조를 요구하며 4차례에 걸쳐 침입해오자, 고려는 결국 몽골의 요구를 수락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즉위한 원종은 왕권의 회복과 신장을 위해 몽골 황실에 접근하는 등 적극적인 친선정책을 취했다.

1261년 세조의 황위계승 경쟁자였던 아리패가의 난이 평정되자 태자 심을 몽골에 보내 축하했으며, 1264년에는 직접 몽골에 가서 대축전에 참여했다. 1268년 개경에 출배도감이 설치되는 등 환도가 추진되는 가운데, 임연으로 하여금 김준을 제거하게 했다. 곧이어 다시 임연과 세력 다툼을 벌이다 1269년 6월 폐위되어 동생 안경공 창이 왕위에 올랐으나 원의 도움으로 11월에 다시 복위했다. 이무렵 서경의 최탄(崔坦) 등이 임연을 타도한다는 구실로 반란을 일으켜 몽골에 항부하여 서북면 일대를 바침으로써 이듬해 서경에 동녕부가 설치되었다. 몽골 조정에 들어와서 국왕 폐립의 진상을 밝히라는 세조의 요구로 대도에 간 원종은 몽골의 황녀를 세자 심의 비(妃)로 맞이하겠다는 희망을 전달하고, 권신 임연을 제거하기 위한 군대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1270년 귀국할 무렵 몽골과의 결전을 감행하고자 하던 임연이 죽고 그 아들 임유무가 정권을 잡았는데, 환도 명령에 불복하고 항거하다 홍문계·송송례 등에 의해 제거되었다. 그해 태자와 함께 몽골에서 돌아와 개경환도를 실현했으나, 삼별초가 이에 반발하며 항전을 벌이자 몽골군과 연합하여 3년 만인 1273년에 진압했다. 한편 원은 일본에 대한 초유가 실패하자 전쟁준비를 서둘러 고려에 막대한 양의 군량과 함선 및 군사를 마련하도록 강요하고, 고려의 백성을 수탈하여 1274년 전쟁준비를 완료했다. 또한 이해 원나라의 매빙사가 와서 남편이 없는 부녀자 140명을 요구하자, 결혼도감을 설치하고 민간의 독녀와 역적의 처, 종의 딸 등을 뽑아 보내어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

무인들에 대항하고 자신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친몽정책을 추진한 결과 무인집권에 종말을 고하게 하고 왕권을 확립했으나, 이는 몽골에의 종속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능은 소릉이다. 시호는 순효, 원나라의 시호는 충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