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붕증

요붕증

다른 표기 언어 diabetes insipidus , 尿崩症

요약 병적인 내분비 상태로 심한 갈증과 매우 묽은 소변을 지나치게 많이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바소프레신(vasopressin .)
바소프레신(vasopressin .)

보통 하루에 4~5ℓ가량의 소변을 배설하며 심한 경우 15ℓ까지도 배설한다. 요붕증은 근본적으로 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이 결핍되었거나 그 작용이 방해를 받아 나타난다. 항이뇨호르몬은 시상하부에서 만들어지며 신장에서 수분의 재흡수와 소변의 생성을 조절한다.

요붕증은 수분섭취가 증가하기 때문에 2차적으로 소변량이 늘어나는 심인성(心因性) 갈증, 즉 이상음수증(異常飮水症)이나 수분 부족과 관계없이 일어나는 갈증감과는 구분된다. 요붕증과 비슷하게 소변량이 증가하는 경우는 당뇨병·신장질환·체액과다 등 여러 상황에서 나타난다. 요붕증의 원인은 삼투압수용기의 부전, 종양·매독·수막염(髓膜炎) 같은 병으로 인해 시상하부나 뇌하수체후엽에 염증이 생긴 경우, 육아종(肉芽腫)·두개골골절·뇌진탕 같은 외상, 세뇨관이 항이뇨호르몬의 작용에 반응하지 않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시상하부의 핵(항이뇨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곳), 항이뇨호르몬이 뇌하수체후엽으로 운반되는 통로, 뇌하수체후엽(항이뇨호르몬이 저장되는 신경뇌하수체) 등이 손상·파괴되어 생기는 요붕증을 SHDI(supraoptic hypophyseal diabetes insipidus)라 한다. 이는 선천성 또는 가족성이거나 뇌의 종양·손상·질병 등으로 인한 후천성이다. 유전성이거나 칼륨 결핍, 혈장 칼슘 농도 상승과 다른 질병으로 인하여 항이뇨호르몬은 충분히 있으나 세뇨관이 반응하지 않는 요붕증을 NDI(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라고 한다.

유전성인 것은 가족성이 있어서 가족 전체 또는 일부에서 나타난다. 신생아에게 나타날 수도 있는데 치료하지 않으면 정신지체가 되거나 탈수로 죽는다. SHDI는 동물에게서 얻거나 합성하여 만든 항이뇨호르몬 유사물질을 주사하여 고칠 수 있지만 NDI에는 이러한 치료가 효과가 없다. SHDI·NDI 모두 신장이 배설해야 할 용질의 부담을 줄이거나 신장의 염분·수분 배설에 영향을 미치는 항이뇨제 종류를 투여하면 소변량이 감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