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호츠크 해

오호츠크 해

다른 표기 언어 Okhotskoye More
요약 테이블
위치 서태평양의 연해, 캄차카 반도, 쿠릴 열도와 본토 사이의 해역
면적 1,583,000㎢

요약 오호츠크 해의 평균수심은 777m이며, 북동 아시아의 다양한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고 일본과 러시아 연방 사이에 있다.
오호츠크 해의 북동부·북부·서부는 아시아 대륙성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에 몹시 춥고 10~4월에는 얼음으로 덮여 있다.
태평양 해류를 통해 따뜻한 바닷물이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오호츠크 해를 동서로 양분하면 동부가 서부보다 더 따뜻하다. 오호츠크 해의 해류는 일반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대표적인 식물군은 해조류이며 게와 새우를 비롯하여 연어·청어·대구류·가자미류·바다빙어류 등이 상업적으로 상당한 가치가 있다.

오호츠크 해(Okhotskoye More)
오호츠크 해(Okhotskoye More)

북동 아시아의 다양한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쪽으로는 아무르 강 어귀(남쪽)에서 펜지나 강 어귀(북쪽)에 이르는 러시아 연방령 시베리아와 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캄차카 반도와 쿠릴 열도, 남쪽으로는 일본의 홋카이도, 남서쪽으로는 러시아 연방의 사할린 섬에 둘러싸여 있다.

대륙에 면한 해안은 높은 바위지대가 대부분이며, 해안 중간중간에 아무르·우다·오호타·기지가·펜지나 강 등 오호츠크 해로 흘러드는 큰 강들의 어귀가 있다. 수심은 북쪽에서 남쪽 및 남서쪽으로 향할수록 깊어진다. 북부 및 북서부는 깊이가 1,000m인 대륙붕이며, 나머지 지역(약 70%)은 깊이가 200~1,500m에 이르는 대륙사면이다.

오호츠크 해의 북동부·북부·서부는 아시아 대륙성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에 몹시 춥다. 이 지역들은 10~4월에 기온이 매우 낮은 대기의 영향으로 계속 얼음으로 덮여 있다. 남쪽과 남동쪽 지역은 태평양에 보다 근접해 있어 비교적 온화한 해양성기후를 띤다. 평균기온은 북부의 경우 2월에 -20℃, 8월에 12℃이며, 남부는 2월에 -7℃, 8월에 18℃이다. 오호츠크 해는 10월말부터 얼기 시작하며, 3월에 얼음이 가장 두꺼워진다.

해수는 대륙에서 유입되는 하수, 강우, 쿠릴 열도의 많은 해협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태평양 해수, 그리고 라페루즈(소야) 해협을 통해 들어오는 동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평양 해류를 통해 따뜻한 바닷물이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오호츠크 해를 동서로 양분하면 동부가 서부보다 더 따뜻하다.

오호츠크 해의 해류는 일반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쿠릴 열도의 동부와 중앙 사이로 밀려드는 태평양 해수의 영향으로 동쪽에는 북쪽으로 흐르는 강력한 해류가 있으며, 서쪽에서는 시베리아에서 흘러드는 강들로 인해 남향의 해류가 형성된다.

오호츠크 해의 해수는 따뜻한 계절에는 해양생물의 서식처로 매우 적합하다. 대표적인 식물군은 해조류이며 동물군으로는 가재, 바다 털격판담치, 게, 정형섬게류·폴립 등과 여러 가지 어류들이 있다. 그중 게와 새우를 비롯하여 연어·청어·대구류·가자미류·바다빙어류 등이 상업적으로 상당한 가치가 있다. 또 오호츠크 해에는 고래·바다표범·바다사자류·물개 등의 포유류도 서식하고 있다.

러시아 연방 극동 지역의 항구들을 연결하는 선박들이 이 바다를 통해 정기적으로 항행한다. 대륙 연안의 주요항구로는 오호츠크 항과 나가예보 만의 마가단이 있으며, 사할린 섬의 코르사코프와 쿠릴 열도의 세베로쿠릴스크와 유주노쿠릴스크 역시 중요하다. 겨울철의 부빙과 여름철의 짙은 안개가 항해를 방해하는 요소들이다.

지도
오호츠크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