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돌또기

오돌또기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매우 밝고 흥겨워서 제주도 소리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졌다. '오돌또기'란 제목은 소리의 첫머리인 "오돌또기 저기 춘향 나온다"에서 따온 것이다. 〈오돌또기〉와 비슷한 가사가 육지에서도 발견되지만 소리의 뿌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첫 마루를 비롯한 몇 개 마루의 노랫말에 신재효본 〈변강쇠타령〉에 나오는 사당패 소리의 노랫말과 같은 것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사당패 소리에서 퍼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사당패 노래의 가사와 비슷한 몇 개의 마루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가사가 제주도의 풍경을 그린 내용이다.
3분박 느린 4박자(12/ 8박자)로 느린 굿거리에 맞는다.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장절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구성음은 '라', '도', '레', '미', '솔'이고, '레'로 끝을 맺는다.

매우 밝고 흥겨워서 제주도 소리 가운데 온 나라에 가장 널리 알려졌다. '오돌또기'란 제목은 소리의 첫머리인 "오돌또기 저기 춘향 나온다"에서 딴 것이다.

오돌또기
오돌또기

〈오돌또기〉와 비슷한 가사가 뭍에서도 발견되는 데, 소리의 뿌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첫 마루를 비롯한 몇 개 마루의 노래말에 신재효본 〈변강쇠타령〉에 나오는 사당패 소리의 노래말과 같은 것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사당패 소리에서 퍼져 나간 것일 듯하다. 사당패 노래의 가사에서 온 듯한 몇 개 마루말고는 거의 모두 제주도의 풍경을 그린 것들이다.

3분박 느린 4박자(12/ 8박자)로 느린 굿거리에 맞는다. 앞소리와 뒷소리로 나뉜 장절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구성음은 '라', '도', '레', '미', '솔'이고, '레'로 마친다. 이런 토리는 제주도 민요에서 특이하게 보이므로 '오돌또기토리'라고 따로 이를 만하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오돌또기 저기 춘향 나온다/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한라산 중허리엔 시르미(1) 익은숭만숭/서귀포 해녀가 바당(2)에 든숭만숭/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성산포 양어장에 숭어가 뛴송만송/청촐왓데(3) 망생이 뛰고야 논다/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제주야 한라산 고사리 맛도 좋고 좋고/산지야 축항(4) 끝에 뱃고동 소리도 좋고 좋다/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청사 초랑에 불 밝혀 들고/춘향이 방으로 감아돌아드는구나/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말을 타고서 꽃밭에 갔더니/말발짝마다 향내만 나는구나/둥그대당실 둥그대당실 여도당실/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냇가머리로 갈까나

(1) 시르미 : 시로미과에 딸린 늘푸른떨기나무. 높은 산에 떼를 지어 자라는 관상용 나무로서 열매는 먹는다. (2) 바당 : '바다'의 방언. 제주 방언의 특징의 하나로, 낱말의 마지막 모음에 'ㅇ[]'이 붙는 수가 많다. 이것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중세어의 명사 형성 접미사인 '-ㄱ'과 연관시킬 수 있을 듯하다. (3) 청촐왓데 : 푸른 풀밭에. '청촐+왓+데'로 쪼개 볼 수 있는데, '촐'은 표준말의 '꽃'이 구개음화한 것이고, '왓'은 '밭'의 어두 자음인 'ㅂ'이 유성음 뒤에서 약화된 것이며, '-데'는 'ㄷ내파음[t']'으로 끝나는 낱말에 쓰이는, 제주 방언의 독특한 처격 어미로서 ''→'-듸'→'-디'또는 '-데'로 변화해 온 듯하다. (4) 산지야 축항 : '산지 축항'은 지금의 제주항을 말하는데, 예전에는 '산지포'라고 했다. 지난날에 화북포와 조천포와 함께 제주도의 관문의 하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