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음표

연음표

다른 표기 언어 連音標

요약 한국 전통음악의 기보법 중 하나.

조선 후기 가객들에 의하여 가곡의 선율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창안된 일종의 부호보이다. 부호표·발음표라고도 한다. 노래의 억양·고저·연결 등을 부호로 만들어 가사 옆에 표시한 것으로 중세 서양음악의 그레고리오 성가에 사용되었던 네우마(neuma)와 비슷하다. 조선 후기 박효관·안민영이 편찬한 〈가곡원류〉에 처음 쓰였고, 그 명칭은 〈협률대성〉·〈여창가요록〉에도 보인다. 박효관의 제자인 하규일이 사용한 16종의 발음표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발음표에서 하성은 우조와 계면조에서 임종을 통용하고, 중성은 우조에서는 청태주, 계면조에서는 청중려를 쓴다고 하고 있다.

부호 명칭
이미지 드는 표(들어내는 표)
이미지 누르는 표(눌러내는 표)
□(■) 막드는 표(막내는 표)
이미지 눌러 떼는 표(홋든흘림 표)
이미지 든흘림 표(가즌흘림 표)
이미지 접어드는 표
이미지

이미지
연음표(연음)

   (쟝귀)
이미지

이미지
반각표(반각표)

   (볼 떨어진 장단)
이미지 연음막드는 표
〈여창가요록〉·〈협률대성〉의 연음표
부호 명칭
이미지 눌러내는 표
이미지 평성으로 내는 표
이미지 곧 들어내는 표
이미지 물어내는 표
이미지 눌러내는 표
이미지 눌러내는 표
이미지 거중이 들어내는 표
이미지 훔쳐드는 표
이미지 반 든 흘림표
이미지 들어 누르는 표
이미지 든 흘림표
이미지 층지게 몰아잡아 평성으로 드는 표
이미지 연음표
이미지 머리잡아 드는 표
이미지 동그랗게 들어내는 표
이미지 평성으로 들어 누르는 표
하규일이 쓴 연음표 16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