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

역학

다른 표기 언어 epidemiology , 疫學

요약 역학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특정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많은 집단을 밝혀내어 그 원인을 알아내고 예방조치를 실시하는 데 있다. 역학 연구는 기술적 연구와 분석적 연구로 나뉜다. 기술적 연구에서는 질병에 걸린 인구 집단의 성격을 판정하기 위해 나이·성별·인종·직업 등의 요소에 주목하면서 인구통계조사를 이용한다. 또 다른 연구로는 수년 동안 어떤 질병의 발생을 추적하여 발생빈도나 사망률의 변화 및 차이를 알아내거나 지리적인 차이를 알아내는 방법 등이 있다. 분석적 연구는 기술적 조사나 실험적인 관찰을 통해 얻은 결론을 시험하는 데 쓰인다. 이 연구는 표본 인구집단을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이 가는 요소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집단으로 나눈 다음 질병의 발생률, 사망률이나 다른 변수에 차이가 나는지 관찰한다.

역학(epidemiology)
역학(epidemiology)

다른 분야와는 달리 역학은 환자 개인보다는 집단과 관계가 있고 성격상 종종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며, 역사적이다. 이는 19세기에 인간의 질병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연구하면서 발달했으며, 역학의 주요한 역할 중 하나는 특정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많은 집단을 밝혀내어, 그 원인을 알아내고 예방조치를 실시하는 데 있다. 역학 연구는 기술적 연구와 분석적 연구로 나눌 수 있는데, 기술적 연구에서는 문제의 질병에 걸린 인구 집단의 성격을 판정하기 위해 나이·성별·인종·직업 등의 요소에 주목하면서 인구통계조사를 이용한다.

또다른 기술적 연구로는 수년 동안 어떤 질병의 발생을 추적하여 발생빈도나 사망률의 변화 및 차이를 알아내거나 지리적인 차이를 알아내는 방법 등이 있다. 기술적 연구는 또한 새로운 질병의 증후군을 알아낸다든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위험요소와 질병 사이의 관계를 추측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분석적 연구는 기술적 조사나 실험적인 관찰을 통해 얻은 결론을 시험하는 데 쓰인다.

이 연구는 표본 인구집단을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이 가는 요소(예를 들어 흡연 등)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집단으로 나눈 다음 질병의 발생률, 사망률이나 다른 변수에 차이가 나는지 관찰한다. 전향성소집단(prospectivecohort) 연구는 분석적 연구의 한 형태로, 한 인구집단의 구성원들을 오랜 시간에 걸쳐 추적하여 질병의 발생빈도의 차이를 관찰하는 것이다. 역학연구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에 대해 실마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보건사업을 계획할 때 사업 대상집단의 여러 가지 질병 발생률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한 집단의 전반적인 보건통계치를 구하는 데도 쓰인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중보건을 담당하는 관계 기관은 그 나라 국민들의 특정한 질병과 사망률에 관한 역학적 자료를 정기적으로 수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