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진주

양식진주

다른 표기 언어 cultured pearl , 養殖眞珠

요약 인공적으로 양식된 진주.

양식진주
양식진주

이러한 진주는 패각이 있는 연체동물의 패각 안쪽에 인위적으로 이물질(핵)을 집어넣어 만든다. 진주가 민물홍합에서 양식될 수 있다는 사실은 13세기 중국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중국인들은 홍합의 껍질을 열고 작은 진흙덩이나 조그만 나무조각 또는 금속조각을 집어넣은 다음 진주가 형성될 때까지 3년을 양식장에 놓아두는 방법으로 진주를 양식해왔다.

중국에서 양식된 진주들은 거의 전부가 블리스터 진주(홍합과 그 껍질 사이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반구형임)이기 때문에 보석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를 더 깎아붙인다.

완전한 모양의 진주를 양식하는 기술은 일본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1890년대에 시작된 미키모토 고키치[御本幸吉]의 연구는 훗날 진주 생산공장 설립의 기초가 되었다. 그는 오랜 실험 끝에, 조개의 안쪽에 있는 진주층[螺鈿]의 매우 작은 조각을 조개의 조직 속에 넣는 것이 가장 성공적인 진주양식 방법임을 발견했다. 이 방법은 전체가 진주층으로 이루어진 진주를 생산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식진주는 자연산과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진주층이 너무 얇은 경우에는, 사람 몸에서 나오는 산(酸)과 오랫동안 접촉하게 되면 부식되어 결국 이식시켰던 진주층이 드러나게 된다. 일본은 약 2,140개의 진주양식농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1960년대에는 합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지역에 몇 개의 진주농장을 세우기도 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는 진주양식이 하나의 산업으로 되었으며, 진주뿐만 아니라 진주조개껍질도 생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