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

양귀비

다른 표기 언어 Opium-poppy , 楊貴妃 동의어 앵속, 罌粟, 약담배, 아편꽃, 미낭화, 아부용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양귀비목 > 양귀비과 > 양귀비속
원산지 아시아
크기 약 50cm ~ 1.5m
학명 Papaver somniferum
꽃말 위안, 잠(백색), 허영(홍색)
용도 약용 등

요약 양귀비과에 속하는 1~2년생초. 5~6월에 꽃이 핀다.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 '양귀비'란 이름은 중국의 미인 양귀비(楊貴妃)에서 유래했다. 마약 성분이 들어있어 재배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잎이나 씨에는 마약 성분이 거의 없어 식용하기도 하지만 식물 자체의 재배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구할 수없으며, 대중적으로 알려진 관상용 양귀비는 원예용으로 도입된 털양귀비나 꽃양귀비 등 마약 성분이 없는 다른 종이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태
  3. 특징
  4. 조리법

개요

양귀비|털양귀비
양귀비|털양귀비

미나리아재비목 양귀비과 양귀비속에 속하는 1년초.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 그리스어 '오피움(opium)'이라는 이름을 중국에서 '아편(阿片)'이라고 음역한 것이 이후 양귀비 꼬투리에서 채취한 즙으로 만든 생약을 의미하게 되었다. '양귀비'란 이름은 중국의 미인 양귀비(楊貴妃)에서 유래했다. 마약 성분이 들어있어 재배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형태

키는 1~1.5m 정도 자란다. 잎은 긴타원형으로 어긋나는데, 잎자루가 없고 잎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꽃은 5~6월에 흰색·자주색·붉은색 등 여러 가지 색으로 피며 꽃받침잎은 2장, 꽃잎은 4장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그런 삭과로 익으며, 삭과 꼭대기에는 우산처럼 생긴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특징

덜 익은 열매의 흠집에서 나온 즙액 말린 것을 아편이라고 한다. 아편은 최면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진통제·진정제·지사제 등으로 써왔다. 아편을 담배와 함께 피우면 마취 상태에 빠지거나 몽롱한 상태가 되며 습관성이 되기 쉽고, 중독현상이 나타나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모든 나라에서 양귀비 재배를 금지하거나 국가에서 조절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마약법>을 마련해 양귀비 재배를 허가·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양귀비의 씨에는 이러한 마약 성분이 없어 기름을 짜기도 하며, 씨를 털고 난 열매껍질을 앵율각이라고 하여 발한제·해열제로도 쓴다.

조리법

양귀비의 씨에는 마약 성분이 거의 없어 빵이나 베이글 등에 넣어 먹거나 기름을 짜서 쓰기도 하지만, 양귀비의 재배나 유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에게는 의미가 없다. 시중에서 양귀비 축제 등을 통해 알려진 양귀비는 마약성분이 없는 털양귀비나 개양귀비 등 원예용으로 도입된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