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율명

12율명

다른 표기 언어 十二律名

요약 한국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이름을 율명이라고 한다. 12율명은 황종·대려·태주·협종·고선·중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이다. 악보에는 12율명의 첫 자만 표기하고, 이를 중성이라 한다. 중성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일 때는 청황종·청대려 등으로 읽고, 두 옥타브 높으면 중청황조·중청대려 등으로 읽는다. 반대로 한 옥타브가 낮은 음역일 때는 탁황종·탁대려로 읽고, 두 옥타브가 낮으면 배탁황종·배탁대려 등으로 읽는다. 이같이 가운데 음역은 중성이라고 하고, 이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은 고음의 맑은 소리를 가리키는 '청'을 붙여 청성으로 읽고,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은 저음의 탁한 음역이라 하여 '탁'을 붙여 탁성이라 부른다. 같은 율명으로 기보하기는 하나 악기편성에 따라 기본음인 황종의 음높이가 다르다.

한국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이름을 율명이라고 하는데 12율명은 황종·대려·태주·협종·고선·중려·유빈·임종·이칙·남려·무역·응종이다.

악보에는 12율명의 첫 자만 표기하고, 이를 중성이라 한다. 중성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일 때는 율명의 왼쪽 옆에 청(淸)자의 삼수변(氵)을 따서 붙여 潢(청황종)·汏(청대려) 등으로 읽고, 두 옥타브 높으면 삼수변을 나란히 하여(이미지) 변을 붙여 이미지(중청황조)·㳲(중청대려)로 읽는다. 반대로 한 옥타브가 낮은 같은 위치에 배(倍)자의 자획인 사람인변(亻)을 붙여 僙(탁황종)·㐲(탁대려)로 읽고 두 옥타브가 낮으면 사람인변을 나란히한(이미지) 변을 (彳)로 줄여 이미지(배탁황종)·이미지(배탁대려)로 읽는다.="id2">

이같이 가운데 음역은 중성이라고 하고, 이보다 한 옥타브 높은 음역은 고음의 맑은 소리를 가리키는 '청'을 붙여 청성으로 읽고,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은 저음의 탁한 음역이라 하여 '탁'을 붙여 탁성이라 부른다. 같은 율명으로 기보하기는 하나 음악의 계통, 악기편성에 따라 기본음인 황종의 음높이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당피리나 편종·편경 등의 당악기가 중심이 되는 황종의 음높이는 (黃=C)이고, 향피리·거문고·가야금·대금 등 향악기가 중심이 되는 음악의 음높이는 (黃=E♭)에 해당하여, 실제로는 향악기 중심 음악이 당악기 중심의 음악보다 단3도 가량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id4">="id3">

중성의 12율과 함께 潢·汏·汰·淶 음을 포함하여 12율 4청성이라고도 한다. 12율 4청성을 내는 대표적 악기로는 편종·편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