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격 시행

알렉산더격 시행

다른 표기 언어 alexandrine

요약 운문 형식.
(프). alexandrin.

프랑스 시에서 주된 운율이다. 12음절로 이루어지는데, 행 중앙의 중간휴지(medial caesura) 직전의 제6음절과 행의 마지막 음절에 제1강세가 오고, 각 반행(半行 héistiche) 내에 제2강세가 온다. 6개의 음절이 한 호흡으로 되어 있고 제2강세는 행의 문맥에 따라 이동하므로, 알렉산더격 시행은 유동적인 형식으로 광범한 주제에 적용할 수 있다.

그 구조적 운율 원칙은 의미에 따른 강세이며, 따라서 알렉산더격 시행은 단순하거나 복잡한 감정, 서술적 묘사, 장엄한 애국심(프랑스에서는 영웅시체 시행으로 알려져 있음) 등을 잘 표현할 수 있다.

이 시행의 명칭(알렉상드랭)은 프랑스에서 12세기에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더 대왕)의 모험에 관한 이야기들을 모아서 엮은 〈알렉상드르 이야기 Roman d'Alexandre〉에 이 시행이 사용된 데서 비롯된 것 같다. 16세기에는 피에르 드 롱사르를 위시한 플레야드파 시인들이 이것을 부활시켰으며, 17세기에는 극시와 이야기체시에서 대표적인 프랑스어 운문 형식이 되었고 코르네유와 라신의 고전 비극들에서 그 절정에 이르렀다. 19세기 후반에는 구조가 다소 느슨해졌으며, 특히 폴 베를렌의 작품에서 그러했다.

시인들은 소위 낭만적 시행(vers romantique) 또는 3보격(trimètre)으로 알려진 알렉산더격 시행의 변형, 즉 제4음절과 제8음절 뒤에 중간 휴지가 오는 시행도 자주 썼다.

영어 작시법에서 알렉산더격은 약강 6보격(iambic hexameter)이라고도 불리며, 프랑스의 알렉산더격이 2개의 제1강세와 제2강세를 갖는 것과는 달리 6개의 주요강세를 갖는다. 알렉산더격은 16세기에 영국에 도입되었고 17세기 독일 및 네덜란드의 시에도 원용되었으나, 프랑스의 경우처럼 성공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