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

아비달마

다른 표기 언어 Abhidharma , 阿毘達磨

요약 아비담·비담 등으로도 음역하며, 그 뜻을 대법·무비법·승법 등으로 번역한다. 단순히 논·논서의 뜻도 있다. 주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정리·주석·연구·요약한 성전으로서의 논서를 가리킨다. 이런 논서들은 BC 2세기 무렵부터 작성되었다. 점차 많은 논서가 작성되어 대략 서력기원 전후로 그것들을 모은 논장이 성립함으로써 경장과 율장을 포함한 삼장이 구비되었고, 삼장은 불교 문헌의 총칭이 되었다. 스리랑카의 상좌부와 북인도의 설일체유부는 7종의 논서를 논장으로 삼았으나, 이후 이것들을 주석한 이차적 아비달마 논서들이 다수 작성되었다. 결국 이런 아비달마는 석가모니가 설한 교법을 연구하고 그 의미를 해명해 그것을 여러 방면에서 설명함과 동시에 새로운 교리도 발전시켰다. 이를 가리켜 흔히 아비달마불교라 칭한다.

아비달마(Abhidharma)
아비달마(Abhidharma)

아비다르마(abhidharma)·아비담마(abhidhamma)를 음사한 말이다. 아비담·비담 등으로도 음역하며, 그 뜻을 대법·무비법·승법 등으로 번역한다. 단순히 논(論)·논서의 뜻도 있다.

주로 통용되는 이 경우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정리, 주석, 연구, 요약한 성전으로서의 논서를 가리킨다. 원어의 의미는 '법에 관하여'이므로 이로부터 '법에 대한 연구'라는 의미로 해석되고 대법이라 번역되었다. 또 원어의 '아비'(abhi)에는 '뛰어난'이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법을 석가모니가 깨달은 진리로 해석하고 이 진리를 이해한 제자들의 지혜를 아비달마라 하여 승법·무비법 등으로 번역되었다.

한편 제자들의 아비달마를 이해하여 책으로 정리한 논서도 아비달마로 불렸다. 이런 논서들은 BC 2세기 무렵부터 작성되었는데, 부파불교 시대에 이르러서 아비달마라 하면 논서를 가리킨다. 점차 많은 논서가 작성되어 대략 서력기원 전후로 그것들을 모은 논장이 성립함으로써 경장과 율장을 포함한 삼장이 구비되었으며, 삼장은 불교 문헌의 총칭이 되었다.

스리랑카의 상좌부는 7종의 논서로 논장을 조직했고 북인도의 설일체유부 역시 7종의 논서를 논장으로 삼았으나, 이후 이것들을 주석한 이차적 아비달마 논서들이 다수 작성되었다. 결국 이런 아비달마는 석가모니가 설한 교법을 연구하고 그 의미를 해명해 그것을 여러 방면에서 설명함과 동시에 새로운 교리도 발전시켰다. 이를 가리켜 흔히 아비달마불교라 칭한다. 아비달마는 불교 일반에서 통용되는 주요교리들을 체계화하는 데 공헌했지만, 그 분석적 태도가 지나쳐 석가모니의 진의를 일탈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