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증

실행증

다른 표기 언어 apraxia , 失行症 동의어 행위상실증, 行爲喪失症

요약 대뇌에 생긴 병변으로 인해 유용하거나 숙달된 동작을 해내는 능력에 이상이 생긴 상태.

실행증(apraxia)
실행증(apraxia)

운동력이나 정신적인 능력은 본래대로 남아 있다. 운동실행증은 하나의 상지(上肢)에 실행증을 일으켜 근육이 쇠약하지 않은데도 자물쇠에서 열쇠를 돌리는 것과 같은 섬세한 동작을 하지 못한다.

기도실행증(企圖失行症)은 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는 것, 즉 행동계획을 수립할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일컫는다. 전체적으로 조직화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부분적인 계획조차도 충분한 시간 동안 실행하지 못한다.

부분부분의 행위는 완전하지만 순서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도실행증에 걸린 사람은 모닥불을 피우기 위해 성냥불을 켤 수는 있지만, 그 다음 행동을 하지 못하고 손가락을 태울 때까지 성냥불을 그대고 들고 있는 것이다. 이런 유형의 실행증은 대개 대뇌피질의 광범위한 병변이나 중독 때문이다.

유의운동성실행증(有意運動性失行症)은 연합신경다발이 단절되어 발생하는 상태로 생각과 운동행위가 조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 병에 걸린 사람은 자신이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한탄하면서 동시에 손으로 모기를 찰싹 때려 잡을 것이다. 즉 자신의 의지에 의해 어떤 행위(예를 들어 휘파람을 불거나 주먹을 쥐는 행위)를 할 수는 없지만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할 수는 있다.

유의운동성실행증을 일으키는 피질의 병변은 대개 모서리위이랑(supramarginal gyrus)에 생기는데, 한쪽에 생길 수도 있고 양쪽에 생길 수도 있다. 구성실행증은 왼쪽보다 오른쪽 대뇌 반구의 병변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더 많은데, 전체적으로 뜻이 통하도록 각 요소를 적절한 형태로 배치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필요한 토막들을 모두 가지고도 전체 구조물을 세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