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냅스후전위

시냅스후전위

다른 표기 언어 postsynaptic potential

요약 신경세포인 뉴런의 막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분극의 일시적 변화.

시냅스(신경접합부)에서 신경충격이 화학적으로 전달되면 새로운 충격이 유발된다. 활성화된 뉴런에서 충격이 시냅스에 도달되면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화학물질이 분비되어 휴지상태인 뉴런의 막에 있는 채널 형태의 분자들의 구멍을 열리게 한다.

채널을 통해 이온이 흐르면 보통 막의 내부가 외부에 비해 약간 많은 음전하를 띠는 휴지막의 분극상태가 변화한다. 세포 안쪽에 음전하가 증가되는 과분극상태는 억제성 시냅스후전위(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를 구성한다. 왜냐하면 과분극은 뉴런이 신경충격을 유발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반면 음전하의 감소로 나타나는 탈분극은 흥분성 시냅스후전위(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EPSP)를 만든다. 탈분극이 뉴런에서 결정적인 역치전위를 넘게 되면 신경충격(활동전위)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시냅스후전위는 등급화된 전위이다. 즉 과분극이나 탈분극의 정도는 이온채널의 활성화에 비례한다. 수많은 시냅스에서 생성된 수많은 시냅스후전위를 하나의 막전위로 통합하는 능력은 뉴런의 중요한 성질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신경계가 복잡한 자극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신경과 근육의 시냅스에서 시냅스후전위에 상응하는 것을 종판전위(end-plate potential)라고 부른다.→ 시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