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

승가

다른 표기 언어 samgha , 僧伽 동의어 승, 僧, 승려, 승단

요약 불교의 교단.

승가(samgha)
승가(samgha)

줄여서 승(僧)이라고도 한다. 부처와 불법과 함께 3보를 이룬다. 승가는 본래 '화합·공동체·조합' 등을 뜻하는 말인 산스크리트 상가(saṃgha)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며, 중·화(和)·화합중·화합승 등으로 의역되었다. 또 산스크리트와 한문을 함께 써서 승려·승단이라고도 한다.

승가는 출가 수행자인 비구·비구니와 남녀재가신도인 우바새·우바이 등의 사부대중으로 구성되지만,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20세 미만의 출가수행자인 사미, 사미니, 사미니에서 비구니가 되기 전 단계인 식차마나 등의 칠중을 포함하는 불교교단 전체를 가리킨다. 추상적인 의미에서 불교교단을 사방승가라고 하고 현실로 눈앞에 보이는 비구·비구니 등의 집단을 현전승가라고 한다. 실제로 현전승가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갈마(계율의 작법)를 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인 4명 이상의 수행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국과 한국 등지에서는 1명의 수행자도 승, 승려 또는 중이라고 하여 불교의 교단보다는 출가수행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승가는 세속적 삶을 버리고 부처를 따라 유행하며 수행하던 제자들에게서 비롯되었다. 부처의 입멸 후에도 제자들은 공동생활을 계속하며 이곳 저곳 떠돌아 다니면서 보시로 생계를 유지했다. 출가수행자의 소유물은 삼의일발이라 하여 여름용·겨울용 상의 2벌과 하의 1벌, 바리때만이 허용되었고, 그밖의 생산수단의 소유를 비롯한 모든 경제활동은 금지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중국에 들어와 보시나 공양물에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동하여 생계를 해결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당나라 백장의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는 말은 중국적인 승가의 전통을 잘 표현하고 있다.

승가를 구성하는 출가수행자를 가리키는 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원래 초기불교의 출가수행자는 탁발만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므로 '걸식하는 자'라는 뜻을 지닌 비구라고 했고, '부지런히 노력하는 자'라는 뜻을 지닌 사문으로도 불렸다. 교단 내에서 많은 수행을 쌓아 지도적 위치에 있는 승려를 가리켜 상좌·장로·존자·대덕·대사라고 한다. 화상이란 원래 제자에게 구족계를 줄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자를 가리켜 말했으나 후에는 덕이 높은 승려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아사리는 궤범사라고 번역되는데 제자를 가르치고 올바른 행위로 인도할 수 있는 모범이 되는 스승을 말한다. 또 경(經)·율·론의 3장과 불법에 정통한 승려를 가리켜 법사라고 하고, 따로 계율에 능한 스님을 율사, 논장에 능한 승려를 논사라고 한다.

승려
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