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

스페인어

다른 표기 언어 Spanish language 동의어 에스파냐어, Español, 카스티야어, Idioma castellano

요약 스페인어로 된 최초의 문헌은 10세기에 라틴어 원문에 대한 주해형식으로 씌어졌으며 문학 작품은 1150년경에 처음으로 나왔다. 스페인어는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카스티야 방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방언에서 현대 표준 스페인어가 발전했다. 카스티야 방언은 9세기 스페인 중북부의 부르고스 마을 주변에서 쓰기 시작하여 스페인이 무어족에게 다시 정복당하게 되자, 남쪽으로 퍼져 11세기까지 마드리드와 톨레도 주변의 스페인 중부까지 이르렀다. 15세기 후반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이 합해 아라곤 왕국이 되자 카스티야 방언은 스페인 전역의 공용어가 되었다. 스페인어는 이베리아 반도 이외에 브라질을 제외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쓰일 뿐 아니라 모로코의 일부 지역, 카나리아 제도, 필리핀에서도 사용한다.

스페인어로 된 최초의 문헌은 10세기에 라틴어 원문에 대한 주해형식으로 씌어졌으며 문학 작품은 1150년경에 처음으로 나왔다. 스페인어는 특히 라틴아메리카에서 카스티야 방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방언에서 현대 표준 스페인어가 발전해나왔다. 카스티야 방언은 9세기에 스페인 중북부(옛 카스티야 지방)의 부르고스 마을 주변에서 쓰기 시작하여 스페인이 무어족에게 다시 정복당하게 되자, 남쪽으로 퍼져 11세기까지 마드리드와 톨레도 주변의 스페인 중부(신카스티야 지방)까지 이르렀다.

언어
언어

15세기 후반 카스티야 왕국과 레온 왕국이 합하여 아라곤 왕국이 되자 카스티야 방언은 스페인 전역의 공용어가 되었다. 아라곤·나바르·레온·아스투리아스·산탄데르의 지역 방언들은 점차 밀려나 지금은 단지 외딴 시골지역에서만 쓰일 뿐이다. 스페인 북서부에서 쓰던 포르투갈 방언인 갈리시아어도 그 사용자가 많이 줄었다. 12세기 이전에 스페인의 아랍 점령지에서 쓰던 스페인어 방언을 모사라베어라 했다(→모사라베어). 아랍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고 옛 형태를 띤 이 스페인어는 아랍과 히브리 시에서 나오는 모사라베어 후렴(kharjahs)을 통해 주로 알려져 있다.

스페인어는 이베리아 반도 이외에 브라질(스페인어와 가깝게 관련된 포르투갈어를 씀)을 제외한 중앙 아메리카남아메리카의 모든 지역에서 쓰일 뿐 아니라 모로코의 일부 지역, 카나리아 제도, 필리핀에서도 사용한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쓰는 스페인어에는 여러 지역 방언이 있는데, 이들 모두 카스티야 방언에서 나왔지만 음운체계로 볼 때 여러 점에서 유럽에서 쓰는 스페인어와 다르다.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의 특징은 카스티야 방언에서 혀짤배기 소리인 'th'(철자에서 e나 i 앞의 z나 c)가 오는 자리에서 s 음이 쓰이며, 카스티야 방언의 'ly'음(11로 씀) 대신 'y'음이나 심지어는 영어 'azure' 의 'z'나 프랑스어 'jour'의 'j'처럼 들리는 'zh'음이 온다는 점이다.

대명사를 나타내는 주어나 목적어를 제외하고는 라틴어의 격체계는 스페인어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명사는 남성이나 여성만 나타내며 복수는 접미사 -s나 -es를 덧붙여 표시한다. 형용사는 명사와의 일치를 위해 어미변화를 하며 동사체계는 복잡하지만 대체로 규칙적인데, 직설법·명령법·가정법과, 과거시제·미완료시제·현재시제·미래시제·조건시제 및 다양한 완료형과 진행형, 수동태와 재귀동사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