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켓

슈퍼마켓

다른 표기 언어 supermarket

요약 슈퍼마켓은 식료품, 농산물, 육류, 빵, 일용잡화 등을 취급하며 때때로 다양한 종류의 비식료품도 판매한다.
미국에선 1930년대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초기에는 주로 시내 중심부에서 떨어진 외곽지역에 자리잡았으며 가격이 매우 저렴했다. 1940-50년대를 거치면서 미국 식품판매의 주된 통로가 되었고, 1950년대에는 유럽에까지 확산되었다. 한국은 유통구조의 근대화로 유통경비를 절감하자는 취지에서 슈퍼마켓을 도입했다. 1970년 최초로 한남슈퍼가 개점한 이후 서울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성장했으나 대부분이 소규모로 프랜차이즈화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셀프 서비스에 대한 인식부족, 관리의 문제 등으로 유통경비절약 효과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에 의해 도전을 받고 있다.

슈퍼마켓(supermarket)
슈퍼마켓(supermarket)

식료품, 신선한 농산물, 육류, 빵, 일용잡화 등을 취급하며 때때로 다양한 종류의 비식료품도 판매한다. 미국에서 처음으로 슈퍼마켓이 등장한 것은 1930년대이다.

초기에는 주로 시내 중심부에서 떨어진 외곽의 재개발건물들에 자리잡았으며 별다른 진열시설은 갖추고 있지 못했으나 가격이 매우 저렴했다. 1940~50년대를 거치면서 미국에서는 슈퍼마켓이 식품판매의 주된 통로가 되었고, 1950년대에는 유럽의 여러 나라들에까지 확산되었다. 슈퍼마켓이 어떤 나라에서 성공하는 정도는 그 나라의 생산자와 도매업자가 자신들의 영업활동을 대규모 소매업에 적응시키고자 하는 능력과 의지에 달려 있다. 슈퍼마켓의 보급은 판매비용을 절감하고 판매유형을 단순화하려는 선진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경향의 일부이다.

1960년대에는 중동·극동·라틴아메리카 등지의 개발도상국에도 슈퍼마켓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들 지역에서 슈퍼마켓은 주로 구매력과 식품저장시설을 갖추고 있는 중상위 소득계층의 호응을 받고 있다.

한국은 유통구조의 근대화로 유통경비를 절감하자는 취지에서 슈퍼마켓을 도입했다. 1970년 최초로 한남슈퍼가 개점한 이후 슈퍼마켓은 서울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성장했으나 시설면에서 선진국 수준에 도달한 것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소규모로 프랜차이즈(franchise)화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셀프 서비스에 대한 인식부족, 관리의 문제 등으로 유통경비절약 효과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이 도입되어 슈퍼마켓이 도전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