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보록

수보록

다른 표기 언어 受寶籙

요약 1393년(태조 2) 10월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악장.

정도전은 〈납씨곡 納氏曲〉·〈궁수분 窮獸奔〉·〈정동방곡 靖東方曲〉·〈문덕곡 文德曲〉·〈몽금척 夢金尺〉·〈수보록〉 등의 악장을 지었는데, 모두 〈삼봉집 三峰集〉에 한시 형태로 전한다. 이중 〈수보록〉은 사언일구 총 16구로 되어 있어 시경체(詩經體)라 할 수 있고, 글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초사체(楚辭體)에 가깝다.

내용은 〈몽금척〉과 유사하게, 태조가 꿈에 하늘에서 내린 금척(金尺)을 받고 지리산 석벽 속에 있는 이상한 글을 받는 등 왕위에 오를 조짐을 보였다는 것이다. 원래 새해 첫날 아침에 대궐 안의 조회에 사용될 목적으로 지어진 두 작품은 노래로 부르는 데 그치지 않고, 궁중무용인 정재(呈才)로 편성해서 새 왕조의 궁중 무악(舞樂)으로 만들어 특히 중요시되었다(→ 수보록). 정도전이 한시로 지은 사설에 정재의 절차에 따라서 부르는 치어가 갖추어져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노래 곡조는 당악을 택했으며, 속악곡을 쓴 〈정동방곡〉·〈납씨가〉와는 좋은 대조를 이룬다. 선율은 〈의례경전통해시악 儀禮經傳通解詩樂〉의 〈녹명 鹿鳴〉 제1장과 같고 2번 반복된다. 지금은 연주되지 않고 단지 〈악학궤범〉에 악보와 가사가 전하는데, 세종 때에는 동지(冬至), 정조(正朝:설날 아침) 및 8월과 9월의 양로연(養老宴) 아악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