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

송이버섯

다른 표기 언어 pine mushroom , 松耳
요약 테이블
분류 균류 > 담자균강 > 주름버섯목 > 송이과 > 송이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중국,대한민국,북한)
서식지 야산
학명 Tricholoma matsutake
용도 생식, 구이, 볶음 용

요약 송이과에 속하는 버섯. 원산지는 일본·중국·한국·북한이다. 한국 전역에 걸쳐 소나무 숲, 낙엽이 쌓인 축축한 곳에 둥글게 또는 줄지어 자란다. 버섯의 갓은 지름이 8~25cm 정도로, 구형에서 반구형이 되었다가 편평해지고 주변부가 뒤집혀진다. 식용 버섯으로 섭취할 수 있으며, 약재로 사용될 때에는 신장기능 강화, 위와 심장 보호, 기억력 증강, 당뇨병 치료, 항암 등의 효능이 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태
  3. 생태
  4. 효능
  5. 특징
  6. 대표 효능
  7. 고르는 법
  8. 보관법
  9. 조리법
  10. 음식 궁합

개요

송이버섯
송이버섯

송이과 송이속에 속하는 식용 버섯. 학명은 'Tricholoma matsutake'이다. 일본·타이완·중국 등에도 분포하며, 절대량을 자연에서 채취한다.

형태

버섯의 갓은 지름이 8~25cm이고 구형에서 반구형이 되었다가 편평해지고 주변부가 뒤집혀진다. 표면은 담황갈색 또는 밤갈색의 섬유상 비늘이 덮여 있고 이것이 갈라져 흰 살이 보인다. 이 살은 치밀하고 독특한 풍미가 있는 식용 버섯이다. 원통형인 자루는 길이가 10~25cm로 속이 차 있고, 위는 백색이며 아래는 갈색 비늘이 덮여 있다. 포자의 크기는 8.5×6.5㎛ 정도의 타원형이다.

생태

20~30년생 소나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송이는 모두 인공 재배가 안 되어 모두 자연산이다. 한국 전역에 걸쳐 소나무 숲, 낙엽이 쌓인 축축한 곳에 둥글게 또는 줄지어 자라며 특유의 향이 있다.

효능

식용 버섯으로 가을에 딴 송이는 특히 향과 맛, 육질이 좋다. 한의학적 효능에는 신장기능 강화, 위와 심장 보호, 기억력 증강, 당뇨병 치료, 항암 등이 있다.

특징

식용 버섯으로 가을에 딴 송이는 식감에서는 일반 버섯과 큰 차이가 없지만 특히 향과 맛, 육질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영양분이 풍부하여 약용으로도 쓰이는데, 한의학적 효능에는 신장기능 강화, 위와 심장 보호, 기억력 증강, 당뇨병 치료, 항암 등이 있다.

대표 효능

비타민, 단백질, 글루칸, 구아닐산, 칼륨, 식이섬유

고르는 법

송이버섯 특유의 향이 강하며, 갓이 펴지지 않은 것으로, 갓과 줄기의 색깔이 너무 짙지 않으며, 탄력이 있어 통통한 것이 좋다. 갓이 펴졌거나 줄기가 물렁한 것은 피한다.

보관법

냉장 보관할 때에는 0~5℃에서 10일간 보관이 가능하다. 냉동보관도 가능하다.

조리법

송이버섯에 묻은 흙을 잘 털어낸 후 옅은 소금물에 잠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한번 헹구는 식으로 씻는다. 물에 오래 담그면 고유의 향이 사라지므로, 상태가 좋을 때에는 아예 물로 씻지 않기도 한다. 송이버섯은 최소한의 간만 한 뒤 구워 먹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그 향이 엄청난 매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송이버섯으로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 국이나 볶음 등으로 먹어도 좋은데, 이때는 송이버섯의 향을 가리지 않도록 양념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 궁합

송이버섯은 기름진 음식과 궁합이 맞는다.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와도 잘 어울린다. 다만 다른 채소와 달리 송이버섯이 주인공이므로 식재료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