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

세탁기

다른 표기 언어 washing machine , 洗濯機

요약 1910년 전기를 이용한 전동식 세탁기가 미국에서 처음 발명되었다. 세탁기의 세탁방식은 3가지가 있다. 드럼식은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효과를 이용한 세탁방식이다. 옷감 손상·엉킴이 적고 삶는 세탁이 가능하며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다. 교반식은 세탁조 중앙의 교반기가 규칙적으로 반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한다. 이 방식은 한 번에 많은 양을 세탁할 수 있으나, 기구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세탁조 안의 봉 때문에 대형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때 불편하다. 펄세이터식은 세탁조 하부에 있는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한다. 옷감 꼬임·손상이 다소 있지만 세탁시간이 짧고 가격이 싸다.

사람이 직접 손으로 빨래를 하기 시작한 기록은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집트에서는 두드려 빨거나 긴 막대에 꿰어 짜는 방법을 사용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의복뿐만 아니라 침구류까지 세탁했으며, 강가에서 발로 밟아서 빠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고 알려진다.

빨래
빨래

빨래는 수분과 먼지 또는 유지와 먼지가 결합하여 더러워진 오염을 기계적 충격과 비누·세제 등을 사용한 화학적 작용에 의해 분리시켜, 옷의 아름다움과 위생적 기능을 회복함과 더불어 섬유의 변형을 회복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빨래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 14세기 이후 풀과 다리미가 사용되었고, 18세기에 이르러서는 비누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19세기말에 와서는 사람의 손이 아닌 기계를 사용하는 수동식 세탁기가 등장했고, 전기를 이용한 전동식 세탁기가 1910년 미국에서 처음 발명되었다.

세탁기의 세탁방식은 크게 드럼식, 교반식, 펄세이터 방식으로 나뉜다.

세탁기
세탁기

드럼식은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효과를 이용한 세탁방식으로 유럽에서 주로 사용된다. 장점은 옷감의 손상이나 엉킴이 적고 삶는 세탁이 가능할 뿐 아니라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세탁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며 무겁다는 점이다.

교반식은 세탁조 중앙의 날개가 붙어 있는 교반기가 규칙적으로 반전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을 한다. 이 방식은 주로 미국에서 사용하며 한번에 많은 양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고 세탁물의 엉킴이나 손상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기구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며, 세탁조 안에 봉이 있어 대형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때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세탁 방식은 펄세이터 방식인데, 세탁조의 하부에 있는 회전날개(pulsator)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한다. 의류의 꼬임 및 손상이 다소 발생하는 단점이 있지만 세탁시간이 짧고 구조가 간단해서 가격이 저렴하다.

한국에서는 1969년 처음 국내 가전제품회사에 의해 세탁기가 개발되어 1990년 현재 보급률 약 60%에 달하고 있다. 경제 및 사회 발전에 따른 가사 합리화와 여가 생활 욕구의 증대로 전자동·대용량 세탁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쾌적한 생활공간을 추구하는 경향에 따라 세탁기 소음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저소음 세탁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분말세제 자동투입기능, 센서 기능, 기억기능, 예약기능을 갖춘 다양한 종류의 세탁기가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