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산업화

다른 표기 언어 industrialization , 産業化

요약 농업국가가 산업국가로 발전하는 방식이나 원인을 언제나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18, 19세기 산업혁명 기간에 영국에서 일어난 변화가 서유럽과 북아메리카 국가들의 초기 산업화 과정의 원형이 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기술적 구성요소와 더불어 산업화 과정은 다양한 사회적 발전을 수반했다. 봉건적·관습적인 의무에 묶여 있던 노동자들이 자유롭게 되자 특정한 사회적 유형 안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기업가와 더불어 자유로운 노동력 시장이 창출되었다. 농촌에 살던 사람들은 새로운 산업도시와 공장지대로 몰려들었다. 비교적 후기에 산업화 과정을 밟은 나라들은 이러한 요소들의 일부를 그 나라 실정에 맞게 변형시키려 했다. 소련과 같은 나라는 주로 강제노동의 이용과 기업가의 제거를 통해서 산업화를 이루었으며, 반면에 일본의 경우에는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여 자본가의 역할을 자극하고 뒷받침했다.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로봇조작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로봇조작원

농업국가가 산업국가로 발전하는 방식이나 원인을 언제나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18, 19세기 산업혁명 기간에 영국에서 일어난 변화가 서유럽과 북아메리카 국가들의 초기 산업화 과정의 원형이 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기술적 구성요소(예를 들어 노동력의 기계화와 예전의 소·말 등을 대신하는 동력의 이용 같은)와 더불어 산업화 과정은 다양한 사회적 발전을 수반했다. 봉건적·관습적인 의무에 묶여 있던 노동자들이 자유롭게 되자 특정한 사회적 유형 안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기업가(자본가)와 더불어 자유로운 노동력 시장이 창출되었다. 농촌에 살던 사람들은 새로운 산업도시와 공장지대로 몰려들었다.

비교적 후기에 산업화 과정을 밟은 나라들은 이러한 요소들의 일부를 그 나라 실정에 맞게 변형시키려 했다. 예를 들면 소련과 같은 나라는 주로 강제노동의 이용과 기업가의 제거를 통해서 산업화를 이루었으며, 반면에 일본의 경우에는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여 자본가의 역할을 자극하고 뒷받침했다. 다른 나라들, 특히 덴마크와 뉴질랜드 등은 주로 농업을 상업화·기계화함으로써 산업화를 달성했다.

도시의 산업이 발전하면서 개인의 이동과 사적인 자유가 역사상 유례없이 폭넓게 주어졌지만 산업 발전은 동시에 사회적·심리적 대가를 치러야 했다. 카를 마르크스, 에밀 뒤르켐과 같은 학자들은 의미없어 보이는 노동과 급격하게 변화하는 목표 앞에서 노동자들이 경험하는 '소외'와 '아노미'(anomie)를 지적했다. 확대가족 및 공동체의 해체로 인해 개인은 고립되고 전통적인 가치들은 무의미한 것으로 변해버렸다. 바로 성장의 메커니즘 자체에 의해 산업주의는 빈곤이라는 새로운 긴장을 만들어냈으며 그 희생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산업질서의 규칙에 따른 경쟁이 불가능해졌다. 20세기말 주요 산업국가에서의 자동화된 기술, 점차 확대되는 서비스 분야, 도시 교외확대 등의 현상을 놓고 일부 학자들은 후기산업사회의 도래를 예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