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스크리트

산스크리트

다른 표기 언어 Sanskrit language 동의어 범어, 梵語

요약 고대 인도아리아어로, 인도 힌두교도들이 쓰는 문어.
(산). saṃskṛta('준비된, 세련된, 순화된, 정제된'이라는 뜻). sanscrit라고도 씀.

산스크리트(Sanskrit language)
산스크리트(Sanskrit language)

인도 북서부 방언에 바탕을 둔 베다 산스크리트는 그 기원이 BC 18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리그베다〉에 나온다.

이 언어는 BC 5세기경에 저술된 파니니의 중요한 문법책에 표준화된 형태로 기술되어 있다. 파니니가 기술한 언어와 유사하기는 해도 완전히 같지는 않은, 이른바 고전 산스크리트로 된 문학활동은 BC 500~AD 1000년경에 융성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지금은 산스크리트 형태가 힌두교 학자들 사이에 학술적 의사전달 수단으로 쓰일 뿐 아니라 창작문을 쓰는 일에도 더러 쓰인다.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인 언어는 널리 쓰이지도 않고 일상적인 모국어도 아니지만, 사실 부활되어 쓰이는 과정에 있어서 다소 재생되고 있다.

산스크리트 문법은 라틴어나 그리스어 같은 더 오래된 인도유럽어의 문법과 비슷하고, 복잡하며 어형 변화가 심하다. 3가지 성(남성·여성·중성)과 3가지 수(단수·양수·복수)가 있고, 8개의 격(주격·대격·조격·여격·탈격·속격·처소격·호격)이 있으나 가장 흔한 단수 어형 변화에서만 명사가 격마다 다른 형태를 보인다. 형용사는 명사를 따라 변화하며 동사는 시제·법·태·수·인칭에 따라 변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