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판승

사판승

다른 표기 언어 事判僧

요약 사찰의 사무를 맡아보는 승려.

수행에만 전념하는 승려인 이판승에 대응하여 쓰였다. 조선 후기 억불정책을 극복하는 방안의 하나로 이판·사판의 제도가 생겼다.

당시 승려들은 보통 잡역에 종사하거나 걸식을 하면서 수행을 하는 것이 상례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원은 재정확보나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승려들의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 수행에 전념하는 이판승과 사찰의 운영과 유지에 힘쓴 사판승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역할 분담을 통해 사원 유지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지만, 이에 따른 폐단도 적지 않았다. 사판승들이 오직 사무적인 일만 맡음으로써 불교 승려 본연의 참선이나 간경 등을 소홀히 하게 된 것이다. 해방 후에는 뜻이 변하여 비구승을 이판승, 대처승을 사판승이라 했다. 이는 비구승이 계율을 준수하면서 수행에 몰두할 수 있었던 데 반하여 대처승은 처자를 거느리고 사찰의 운영에 많이 간여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