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언어학

비교언어학

다른 표기 언어 comparative linguistics , 比較言語學

요약 언어가 가지는 상호 대응관계나 유사성을 분석하여, 그 언어들이 공통된 조어(祖語)에서 갈라져나온 말인지 아닌지를 알아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옛 명칭은 비교문법(comparative grammar), 비교문헌학(comparative philology).

비교문법은 19세기 유럽 언어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였다. 또한 비교문헌학이라고도 하는 이 학문은 원래 윌리엄 존스 경이 1786년에 산스크리트가 라틴어·그리스어·독일어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자극을 받아 발달하기 시작했다.

비교방법에서 중요한 전제는 신(新)문법학파의 원칙, 즉 음운변화를 지배하는 법칙은 규칙적이며 예외는 존재하지 않고, 설령 어떤 규칙에 맞지 않아서 예외처럼 보이는 변화라 해도 반드시 다른 규칙적인 언어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원칙이다. 비교방법의 예를 하나 들면, 영어와 이탈리아어에서 뜻이 같고 차용어가 아닌 수많은 낱말들을 비교해볼 때, 이 두 언어는 서로 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탈리아어의 'piede'는 영어의 'foot'이고, 이탈리아어의 'padre'는 영어의 'father'이며, 이탈리아어의 'pesce'는 영어의 'fish'이다. 이 단어들은 첫소리는 서로 다르지만, 그림 법칙이라고 명명(이 법칙을 발견한 야코프 그림의 이름에서 따옴)된 유형을 따라 규칙적으로 대응한다. 다른 차이점들 역시 또다른 규칙적인 음운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영어와 이탈리아어 사이에는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수의 어휘들이 규칙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영어와 이탈리아어가 동일한 조어에서 갈라져나왔음이 분명해진다. 비교방법은 19세기에 발달하여 이러한 조어인 원시 인도유럽어를 재구성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그후 다른 어족을 연구하는 데도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