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빙

부빙

다른 표기 언어 pack ice , 浮氷

요약 지구 극지역 바다에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

부빙(pack ice)
부빙(pack ice)

부빙은 겨울철 동안 북반구 바다의 약 5%, 남반구 바다의 약 8%를 덮는다.

봄과 여름에 얼음이 녹을 때 부빙의 끝은 극쪽으로 후퇴한다.

바닷물이 얼면서 염낭(鹽囊)이라 부르는 미세한 소금 물방울이 얼음 내에 갇히게 된다. 빙원(氷原)이 완전히 형성되면 염낭은 중력과 온도 경도(傾度)에 의해 얼음덩어리 아랫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주일이나 몇 달이 지난 후에는 얼음 표면의 소금성분이 심부보다 더 줄어들게 된다. 여름철에 얼음의 온도가 상승하면 얼음 내에 있던 소금은 더 빨리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그결과 해빙(海氷)의 표면은 녹여서 마실 수 있게 되고 실제로 에스키모인들은 이를 담수의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동결된 염수(鹽水)의 또다른 특징은, 실제로 완전히 얼어버린 후에도 물은 얼음 바로 밑에서 계속 순환한다는 것이다. 얼음과 접촉하고 있는 표층수는 냉각되어 밀도가 커져 가라앉게 되고, 이결과 얼음 밑에서 물은 수직순환을 되풀이하게 된다.

9월과 10월 동안 북반구에서는 일부 극지역 바다에서 얇은 빙상을 만들기에 충분할 정도로 기온이 하강한다.

염분이 무게비로, 3.5%(보통은 35‰이라고 표시) 정도 포함되어 있는 북반구 해수의 평균 동결온도는 -1.8℃이다. 최초로 만들어지는 얼음의 얇은 층은 상당히 깨끗하지만 얼음 결정이 커지면서 염낭들이 작은 빙상의 얇은 층 사이로 끼어들게 된다. 얇은 빙상은 약한 미풍(微風)과 물의 운동에 의해 떠밀리게 되어 수시간 후에는 빙원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형의 얼음들은 연엽빙(蓮葉氷)이라고 알려져 있다.

만약 기온이 영하로 계속 유지되면 연엽빙은 얼음이 부착되어 크기가 점점 커져 수일 내에 표면에 약간의 골이 생기면서 8~10㎝ 두께가 된다. 빙원의 바닥과 가장자리에서 동결이 계속 일어나면서 해류와 바람의 작용으로 인한 응력과 변형에 관련된 압력이 작용하여 일부 장소나 다른 바다에서 빙구(氷丘)나 빙하 능선을 형성한다. 교대로 일어나는 동결과, 부분적인 해빙·눈·바람·파도로 빙원은 몇 주나 1개월 내에 바다 속으로 15~60㎝ 내려갈 정도로 발달한다.

이 정도의 빙원에서는 초대형 배들이 항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해수표면이 활발히 얼기 시작한 지 2주 후인 10월말에 배가 북쪽으로 멀리 와 있다면 남은 겨울 동안 얼음에 갇힐 위험이 있다.

북반구를 덮고 있는 부빙의 평균넓이는 약 1,060만㎢에 이르며, 북극해 분지와 인접한 북대서양을 채우고 있다. 극 빙원은 약 470만㎢의 넓이와 3~6m 두께의 영구히 녹지 않는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극의 얼음은 대략 북위 85° 서경 170。를 중심으로 거대한 시계방향의 소용돌이를 이루며 운동한다.

북극 분지에서 계절적으로 생기는 해빙과 함께 이곳의 부빙은 두 빙하류(氷河流)를 통해 북대서양으로 흘러간다. 북극 분지로부터 흘러가는 부빙의 주요한 이동경로는 그린란드 동쪽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며, 2번째 경로는 캐나다와 북극 사이의 군도를 거쳐 북아메리카 동쪽 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남극 주변 바다에서는 북극 주변에서 발견되는 부빙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큰 부빙이 만들어진다.

남극 부빙의 최대 넓이는 약 2,000만㎢이다. 남극 부빙은 일정한 모양의 표류하는 해빙 무리로 이루어져 있고, 남반구의 겨울이 끝나는 10월 쯤에는 부빙이 가장 북쪽으로 올라오면서 거대한 시계방향의 소용돌이를 이루며 대륙 주변을 돈다. 남태평양에서 부빙이 가장 넓게 확장될 때는 남위 약 62。에서도 발견되고 남대서양에서는 남위 52。까지 확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