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민주항쟁

부마민주항쟁

다른 표기 언어 釜馬民主抗爭 동의어 부마민주화운동, 부·마항쟁, 부마항쟁, 부마사태
요약 테이블
분류 국가기념일
날짜 매년 10월 16일

요약 1979년 10월 부산과 경남 마산에서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 철폐를 위해 전개 되었던 민주항쟁.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학생들의 교내 시위에서 시작되었다. 시위는 부산시와 마산시까지 확산되었지만, 20일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소강되었다. 이후 10·26사태가 발발하면서 박정희 정권의 청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평가 받고 있다.

목차

접기
  1. 배경
  2. 전개
  3. 결과
부마사태
부마사태

배경

1979년 10월 16일부터 20일까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마산시(지금의 창원시)의 학생들과 시민들이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에 대항한 민주항쟁. 정치적·사회적 갈등을 빚어오던 유신체제는 1979년 들어서 '백두진 파동'과 '박정희 대통령 취임 반대운동' 등을 겪으며, 각종 시국사건에 대해 강경대응하여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체포·연행·연금 등이 잇달았다. 더욱이 10월 4일, 공화당이 김영삼 신민당 총재의 의원직 제명안을 변칙으로 통과시키자 정국은 파국상태로 치달았다.

전개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은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단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내에서 반정부 시위를 시작으로, 저녁에는 부산시청 앞에 집결하여 부산시내 중심가까지 진출, 애국가 등을 부르고 반정부 구호를 외치며 격렬한 시위를 벌였다. 10월 17일 저녁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시위가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충무파출소·한국방송공사(KBS)·서구청·부산세무소 등이 파괴되고 경찰차량도 전소 내지 파손되었다. 경찰력만으로 진압이 어렵다고 판단한 정부는 10월 18일 0시를 기해 부산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하여 1,058명을 연행하고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계엄군에 의해 계엄해제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는 부산의 시민·학생들은 진압되었으나 시위는 더욱 확산되어 마산지역에서 마산대학교와 경남대학교 학생들을 선두로 민주공화당사·파출소·방송국을 타격하는 등 격렬한 시위가 전개되었다. 10월 19일에는 마산수출자유지역의 근로자와 고등학생들까지 합세하여 시위는 더욱 격렬해졌고, 마산시내는 한때 치안부재의 상태가 되기도 했다. 10월 20일 정부는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발동하여 505명을 연행하고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하는 등의 강경책으로 진압했다.

결과

부산에서 1,058명, 마산에서 505명이 연행되었고, 이 중 87명이 군법회의에 넘겨졌으며, 20명은 실형을 선고받았다. 위수령이 발동된 지 6일이 지난 26일, 10·26사태가 발발하면서 시위는 소강상태로 접어들었고, 기소되었던 사람들은 석방되거나 전두환 정권 이후 사면으로 풀려났다. 부마항쟁은 학생들의 군부 독채 타도와 유신 철폐 시위를 전국적 규모의 민주화 운동으로 확산시키고 18년간 지속해 온 박정희 대통령의 군부 정권 청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후 2018년 4월, 부마민주항쟁이 최초로 발생한 1979년 10월 16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 논의는 2018년 10월,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범국민 추진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2019년 9월,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이 심의·의결되면서 10월 16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