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질

본질

다른 표기 언어 essence , 本質

요약 본질이란 사물의 존재를 규정하는 원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바로 사물의 본질을 알고자 하는 것이라 했고, 사물의 존재 그 자체라는 뜻에서 사물의 실체라고 했다. 또한 본질은 사물의 정의에 포착되는 것으로 개개 사물의 공통성인데 이 공통성은 개개 사물 속에 있어 그 사물의 존재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본질
본질

이에 비해 그 사물에게 간혹 있기는 하지만 항상 있지 않고, 있어도 없어도 좋은 것은 부대성(附帶性:그리스어 symbebekos, 라틴어 accidentia)이다.

사물 본래의 성립이라는 점에서 본질이란 사물의 본성(그리스어 physis, 라틴어 natura)이다. 즉 사물의 존재를 규정하는 원인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의해 물어지는 것을 사물의 본질(ti estin)이라 했고, 이것이 사물의 존재 그 자체라는 뜻에서 이를 사물의 실체(usia)라고 불렀다. 그것은 사물의 정의(그리스어 horismos, 라틴어 definitio)에 포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개개 사물이 속하는 종(從)에 속하는 많은 사물의 공통성인데 이 공통성은 개개 사물에서 떠나 그 자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며 개개 사물 속에 있어 그 사물의 존재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본질이 사물 '본래의 성립'으로서 사물의 '지속성', '본래성'을 표현하는 것으로는 "그것이 본래는 (사물의) 무엇이었는가"(ti en einai)라고도 말한다. 한편 이 말의 라틴어 번역인 'essentia'는 '존재한다'에서 온 말이며 '참으로 그것인 것'이라는 뜻이다. 본질은 유(類)와 종(種)의 차이에 따라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인간의 본질은 '인간성'이며 그것은 '이성적 동물'이다. 중세에는 신(神)의 본질(quid est)은 그 존재(quod est)와 구별될 수 없는 것으로 여겼으며, 그밖의 사물에서는 이들이 구별되고 각각은 사물 고유의 본질을 가지며 여기에 '존재'(esse)의 작용이 부여되어 현실에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본질과 존재의 구별은 현대 실존주의 철학의 원천 중 하나이다.

근대 과학에서 사물의 존재는 그 정의에 따라 실체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우연히 소유하고 있는 작용에 의해 기능을 갖는다고 파악되고 나서부터는 본질의 개념이 불분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