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능

본능

다른 표기 언어 instinct , 本能

요약 본능적 행동은 동물이나 종의 생존에 이바지하며 싸움이나 성적 행위시에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본능적 행동은 하나의 기관이 하나의 자극에 반응하는 반사작용이다. 일부 하등동물은 연쇄 반사작용의 지배를 받는데, 예를 들어 노래기의 경우에는 한쪽 다리의 움직임이 다른쪽 다리의 움직임을 자극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물은 여러 신체조직이 참여하는 고착된 행동양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고착된 행동양식은 대부분 하나의 목표를 지향하지만 구애할 때처럼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등동물일수록 고착된 행동양식에 얽매이지 않고 상황에 유연하게 적응한다. 포유류의 경우 후천적으로 학습한 행동이 결국은 고착된 행동양식을 압도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인간의 행동은 사회화 과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본능
본능

미리 예측할 수 있고 비교적 고정된 행동양식을 낳는다. 본능적 행동은 어떤 동물이나 종(種)이 조상에게 물려받은 적응수단으로서, 그 동물이나 종의 생존에 이바지하며 싸움이나 성적(性的) 행위에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탐험이나 놀이 같은 동물의 일부 행동은 변할 수 있지만, 선천적 행동은 대체로 내면의 동기에서 나오는 일련의 행위이다.

물론 외부상황이 이런 행동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외부상황의 영향은 부차적일 뿐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본능적 행동은 하나의 기관이 하나의 자극에 반응하는 반사작용이다. 일부 하등동물은 연쇄 반사작용의 지배를 받는데, 예를 들어 노래기의 경우에는 한쪽 다리의 움직임이 다른쪽 다리의 움직임을 자극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동물은 여러 신체조직이 참여하는 고착된 행동양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런 고착된 행동양식은 대부분 하나의 목표를 지향하지만 구애할 때의 독특한 표시행위처럼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곤충·조류·어류는 의사소통을 위해 몸짓과 춤처럼 몸을 움직이는 행동양식을 이용하며, 이런 행동양식을 통해 새로이 그 종의 독특한 신호를 다른 종의 신호와 구별할 수 있다.

일부 종의 경우에는 고착된 행동양식이 학습과정을 통해 수정될 수도 있는데, 둥지를 짓는 행동도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어 갈까마귀는 시행착오를 통해 둥지를 짓는 데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는 법을 배우지만, 카나리아는 사람이 만든 헝겊 둥지에서 길러졌더라도 즉시 올바른 재료를 선택할 줄 알고, 다른 깃털을 구할 수 없을 때는 자신의 깃털이라도 뽑아서 둥지 안쪽에 깃털을 붙이는 타고난 능력을 갖고 있다.

모든 동물은 본능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등동물일수록 고착된 행동양식에 얽매이지 않고 상황에 유연하게 적응한다. 예컨대 새끼쥐가 무더기를 쌓아올리고 매끈하게 다듬는 등의 본능적 행동을, 경험을 통해 보금자리 만들기에 새로이 적용하는 것처럼, 포유류의 경우 후천적으로 학습한 행동이 결국은 고착된 행동양식을 압도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의 행동은 사회화 과정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유전·환경 문제는 지금도 계속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