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태

변태

다른 표기 언어 metamorphosis , 變態 동의어 탈바꿈

요약 변태호르몬과 유충호르몬 같은 호르몬이 작용하여 변태를 조절한다. 이러한 형태 및 구조적인 형질 변화는 생물의 생리적, 생화학적, 행동적 변화를 수반한다.
미성숙 형체 또는 유충은 환경에 적응하여 성체의 생활방식과는 다른 생활방식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는 동일한 종의 유충과 성체가 음식물과 생활공간을 차지하기 위해 직접적인 경쟁을 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변태의 예로 양서류인 올챙이를 보면, 수생의 유생시기에서 육상에서 서식하는 개구리로 변태된다. 또 불가사리류와 극피동물도 좌우대칭의 유생에서 방사상칭의 성체로 변하는 변태를 거친다. 게, 바다가재 등의 갑각류와 달팽이, 조개 등의 연체동물의 변태양식도 잘 알려져 있다. 변태의 변화 양상이 가장 뚜렷하고 상세히 연구된 예는 곤충으로 구조적 변화 양상에 따라 불변태, 불완전변태, 완전변태의 3종류로 나뉜다.

변태
변태

변태호르몬과 유충호르몬 같은 호르몬이 작용하여 변태를 조절한다.

이러한 형태 및 구조적인 형질 변화는 생물의 생리적·생화학적·행동적 변화를 수반한다. 미성숙 형체 또는 유충은 환경에 적응하여 성체의 생활방식과는 다른 생활방식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는 동일 종의 유충과 성체가 음식물과 생활공간을 차지하기 위해 직접적인 경쟁을 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변태의 예로 양서류인 올챙이를 보면, 수생(水生)의 유생시기에서 육상에서 서식하는 개구리로 변태된다. 또 불가사리류와 극피동물도 좌우대칭의 유생에서 방사상칭의 성체로 변하는 변태를 거친다. 게, 바다가재 및 다른 갑각류와 달팽이, 조개 및 다른 연체동물의 변태양식도 잘 알려져 있다. 해초류(바다물총) 따위의 미색동물은 유생 올챙이와 비슷하고 자유유영을 하지만 성체가 되면 고착성이 되며 약간 퇴화한다.

변태의 변화 양상이 가장 뚜렷하고 상세히 연구된 예는 곤충이다. 발달 형태는 모든 곤충에서 같지 않으므로 구조적 변화 양상에 따라 편리하게 불변태(不變態)·불완전변태(不完全變態:半變態)·완전변태(完全變態)의 3종류로 나눈다. 불변태성 발생에서는 단순히 유충이 성체가 될 때까지 크기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좀벌레, 톡토기, 그리고 다른 원시 곤충류가 속한다.

보다 고등한 곤충인 메뚜기류, 흰개미류 및 노린재는 변태가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불완전변태를 한다. 불완전변태성 동물의 생활사는 알, 약충(若蟲) 그리고 성체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약충 또는 미성숙 곤충은 형태와 먹이습성이 성체와 비슷하나 크기, 신체부위의 비례 및 체색은 성체와 차이가 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미숙한 날개형태가 외부로 자란다. 발달은 외골격이 주기적으로 탈피하면서 이루어지고 마지막 탈피를 끝내면 성충이 된다. 완전변태는 갑충류(甲蟲類:투구풍뎅이)·나비류·나방류·파리류 및 말벌류에서 나타난다. 이들의 생활사는 알·유충·번데기 그리고 성체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유충은 성체와 크게 달라서 날개가 없고 형태와 습성은 생식보다는 성장과 발달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성체가 되는 변화는 음식물을 먹지 않는 비활동성의 번데기시기에 이루어진다. 이때 유충의 날개가 외부로 자라나고 유충의 기관과 조직이 없어지면서 성체의 구조로 발달된다. 완전변태의 한 형태인 과변태는 몇 종류의 갑충류, 파리류 및 다른 곤충류에서 일어나며, 2가지 형태 이상의 유충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