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다른 표기 언어 San Roberto Francesco Romolo Bellarmino
요약 테이블
출생 1542. 10. 4, 토스카나 몬테풀차노
사망 1621. 9. 17, 로마
국적 이탈리아

요약 1930년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5월 17일. 프로테스탄트의 종교개혁 교리를 비판한 대표적인 추기경·신학자(→ 반종교개혁).

로마 가톨릭 교회는 그를 가장 영향력 있는 호교론자로 평가한다.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1560년 예수회에 들어갔다. 이탈리아의 로마·몬도비·파도바에서 공부한 뒤 루뱅으로 파견되어, 그곳에서 1570년 사제 서품을 받고 신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저지대 국가들에서 확산되고 있던 은총과 자유의지에 대한 아우구스티노의 교리와 프로테스탄티즘 때문에 그는 자신의 신학적 원칙을 분명히 해야 했다. 그는 로마로 돌아와 새로 설립된 예수회 대학에서 강의했다. 1599년 클레멘스 8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되었고, 이어서 1602년 카푸아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검사성성 고문이 된 그는 갈릴레오의 저작들에 대한 첫번째 조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갈릴레오의 견해에 다소 공감을 느낀 벨라르미노는 그에게 교황과의 면담을 허락하고, 그 자리에서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변호하지 말고 하나의 가설로 규정하도록 권고했다. 검사성성을 대변하여 일하면서 가톨릭 교회와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분규에 휩싸이게 되자 추문을 두려워한 벨라르미노는, 갈릴레오가 지지한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거짓되고 잘못된' 것이라고 선언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했으며, 1616년 가톨릭 교회도 그렇게 판결했다(→ 코페르니쿠스 체계).

빈민 구제에 남달리 깊은 관심을 가져 그들을 위하여 자신의 전재산을 바쳤으며 정작 그 자신은 극빈자로 죽었다. 생전에 그는 프로테스탄트의 저작들을 공평한 입장에서 평가하여 가장 계몽적인 신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았다. 1931년 교황 비오 11세는 그를 교회학자로 명명했다.

벨라르미노가 쓴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은 〈이 시대의 이단들에 대한 그리스도교 신앙논쟁 강의 Disputationes de controversiis Christianae fidei adversus huius temporis haereticos〉(1586~93)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일련의 강의록이다. 이 강의록에는 가톨릭 교리에 관한 명쾌하고 비타협적인 진술이 들어 있다. 그는 불가타 성서의 클레멘스판(1591~92)을 펴내는 데 참여하여, 교황 식스토 5세 때 출판된 이전 판의 오역들을 조심스럽게 수정했다. 그가 만든 1597년의 교리문답서는 그뒤의 저작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교황의 모든 세속권을 부정한 에버딘의 바클리가 쓴 〈교황권에 관하여 De Potestate Papae〉(1609)에 대한 응답으로 그는 1610년 〈세속적인 문제에 대한 교황의 권한에 관하여 De Potestate Summi Pontificis in Rebus Temporalibus〉를 발표했다. 1675년에는 처음으로 자서전이 출판되었다. 그의 저작들을 편집한 완본은 12권으로 출판되었다(187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