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향공신

배향공신

다른 표기 언어 配享功臣

요약 고려·조선 시대 국왕의 묘정(廟庭:宗廟)에 배향한 공신.

국왕이 죽으면 신주를 종묘에 설치하여 선왕과 함께 제사한다. 이때 국가운영에 공이 큰 신하를 선정하여 그의 신주도 함께 설치하고 부제(祔祭)를 지냈다. 이들을 배향공신이라고 했다. 배향공신은 왕이 죽은 뒤 바로 선정하지만, 정치적 변동에 따라 나중에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도 많았다. 배향공신 제도는 기록상으로 고려시대부터 나타난다.

988년(성종 7)에 성종 이전의 5명의 왕에 대한 5묘를 설치하고, 994년(성종 13) 각 왕의 배향공신을 정했다(표1 참조). 1027년(현종 18) 거란의 침입 후 태묘(太廟:종묘)를 수리할 때, 성종의 배향공신 수가 태조 때와 같은 것은 불가하다고 하여 태조의 배향공신에 최응을 추가했다. 조선에 들어서 조충·정몽주 등을 고려왕의 사당인 숭의전(崇義殿)에 배향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처음에 태조의 배향공신으로 조준·이화(義安大君)·이지란·조인옥을 선정했다. 그러나 1421년(세종 3) 고려 태조의 배향공신이 6명인데, 조선은 4명뿐인 것은 불가하다고 하여 남재·남은·이제를 추가했다. 조선 후기 정쟁(政爭)이 심해지면서 추가논의도 복잡해져 끝내 배향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송시열의 경우 1713년(숙종 39)부터 배향이 건의되었으나 1776년(정조 즉위)에야 효종묘에 배향될 수 있었다.

대원군 집정기인 1865년(고종 2)에는 양녕대군·효녕대군·능원대군·인평대군·남연군 등 종친을 추가 배향했다. 1886년에는 이이·김석주 등을 대폭 추가했고, 추봉왕(追封王)에게도 배향공신을 설정했다(표2 참조).

종묘에 설치하는 공신의 위패는 섬긴 왕의 순서에 따라 배열하도록 했다. 단 고려시대에 만든 〈고금상정례〉에는 종묘의 서정(西庭)에 두게 한 것을 조선시대에는 동쪽으로 바꾸었다. 제사하는 대(代) 수가 지나, 왕의 신주를 별묘로 옮기게 되면 배향공신의 위패는 종가(宗家)로 옮겼다. 배향공신에게는 고려시대부터 자손을 우대하고, 문음이나 증직(贈職)의 특전을 주며, 대대로 후손이 죄를 지었을 경우 용서하는 특혜를 내렸다. 조선 후기까지도 이 관례는 지속되었다.

배향공신
태조 배현경 (裵玄慶) ·홍유 (洪儒) ·복지겸 (卜智謙) ·신숭겸 (申崇謙) ·유금필 (庾黔弼) ·최응 (崔凝)
혜종 박술희 (朴述熙) ·김견술 (金堅術)
정종 왕식렴 (王式廉)
광종 유신성 (劉新城) ·서필 (徐弼)
경종 박양유 (朴良柔) ·최지몽 (崔知夢)
성종 최량 (崔亮) ·최승로 (崔承老) ·이몽유 (李夢游) ·서희 (徐熙) ·이지백 (李知白)
목종 한언공 (韓彦恭) ·최숙 (崔肅) ·김승조 (金承祚)
현종 강감찬 (姜邯贊) ·최항 (崔沆) ·최사위 (崔士威) ·왕가도 (王可道)
덕종 유소 (柳韶)
정종 서눌 (徐訥) ·황주량 (黃周亮) ·최충 (崔沖) ·김원충 (金元沖)
문종 최제안 (崔齊顔) ·이자연 (李子淵) ·왕총지 (王寵之) ·최유선 (崔惟善)
순종 이정공 (李靖恭)
선종 문정 (文正) ·유홍 (柳洪) ·김상기 (金上琦)
숙종 소태보 (邵台輔) ·왕국모 (王國髦) ·최사추 (崔思諏)
예종 유인저 (柳仁著) ·윤관 (尹瓘) ·김인존 (金仁存) ·위계정 (魏繼廷)
인종 김부식 (金富軾) ·최사전 (崔思全)
의종 최윤의 (崔允儀) ·유필 (庾弼) ·문공원 (文公元)
명종 윤인첨 (尹鱗瞻) ·문극겸 (文克謙)
신종 조영인 (趙永仁)
희종 최선 (崔詵) ·임유 (任濡)
강종 정극온 (鄭克溫)
고종 조충 (趙沖) ·이항 (李杭) ·김취려 (金就礪)
원종 이세재 (李世材) ·채정 (蔡楨)
충렬왕 허공 (許珙) ·설공검 (薛公儉)
충선왕 홍자번 (洪子藩) ·정가신 (鄭可臣)
충혜왕 한정 (韓浧) ·이규 (李揆)
충정왕 이암 (李嵒)· 이인복 (李仁復)
공민왕 왕후 (王煦) ·이제현 (李齊賢) ·이공수 (李公遂) ·조익청 (曺益淸) ·유숙 (柳淑)
고려의 배향공신
배향공신
태조 조준 (趙浚) ·이화 (李和:義安大君) ·남재 (南在) ·이제 (李濟) 이지란 (李之蘭) ·남은 (南誾) ·조인옥 (趙仁沃)
정종 이방의 (李芳毅:益安大君)
태종 하륜 (河崙) ·조영무 (趙英茂) ·정탁 (鄭擢) ·이천우 (李天祐) ·이래 (李來)
세종 황희 (黃喜) ·최윤덕 (崔潤德) ·허조 (許稠) ·신개 (申槩) ·이수 (李隨) ·이제(李禔:讓寧大君)·이보(李補:孝寧大君)
문종 하연 (河演)
세조 권람 (權擥) ·한확 (韓確) ·한명회 (韓明澮)
예종 박원형 (朴元亨)
성종 신숙주 (申叔舟) ·정창손 (鄭昌孫) ·홍응 (洪應)
중종 박원종 (朴元宗) ·성희안 (成希顔) ·유순정 (柳順汀) ·정광필 (鄭光弼)
인종 홍언필 (洪彦弼) ·김안국 (金安國)
명종 심연원 (沈連源) ·이언적 (李彦迪)
선조 이준경 (李浚慶) ·이황 (李滉) ·이이 (李珥)
인조 이원익 (李元翼) ·신흠 (申欽) ·김류 (金絫) ·이귀 (李貴) ·신경정 (申景禎) ·이서 (李曙) ·이보 (李俌:綾原大君)
효종 김상헌 (金尙憲) ·김집 (金集) ·송시열 (宋時烈) ·이준 (李濬:麟坪大君) ·민정중 (閔鼎重) ·민유중 (閔維重)
현종 정태화 (鄭太和) ·김좌명 (金佐明) ·김수항 (金壽恒) ·김만기 (金萬基)
숙종 남구만 (南九萬) ·박세채 (朴世采) ·윤지완 (尹趾完) ·최석정 (崔錫鼎) ·김석주 (金錫胄) ·김만중 (金萬重)
경종 이유 (李濡) ·민진후 (閔鎭厚)
영조 김창집 (金昌集) ·최규서 (崔奎瑞) ·민진원 (閔鎭遠) ·조문명 (趙文命) ·김재노 (金在魯)
장조 이종성 (李宗城) ·민백상 (閔百祥)
정조 김종수 (金種秀) ·유언호 (兪彦鎬) ·김조순 (金祖淳)
순조 이시수 (李時秀) ·김재찬 (金載瓚) ·김리교 (金履喬) ·조득영 (趙得永) ·이구 (李球:南延君) ·조만영 (趙萬永)
익종 남공철 (南公轍) ·김로 (金鏴) ·조병구 (趙秉龜)
헌종 이상황 (李相璜) ·조인영 (趙寅永)
철종 이헌구 (李憲球) ·이희 (李曦:益平君) ·김수근 (金洙根)
고종 신응조 (申應朝) ·박규수 (朴珪壽) ·이돈우 (李敦宇) ·민영환 (閔泳煥)
조선의 배향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