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미륵사지

익산미륵사지

다른 표기 언어 益山彌勒寺址

요약 사적 제150호.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600~641)이 사자사로 갈 때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나자 절을 세웠다 한다. 17세기경에 이미 폐사되었으며 현재는 파손된 서탑과 당간지주 등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미륵사지는 일제강점기 때 조사가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본격적인 발굴조사의 결과로 동탑과 서탑 사이에 목탑을 세워서 일직선상에 탑 3개를 배열하고, 각 탑의 북쪽편에 금당을 1개씩 둔 가람배치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 절터에서는 1만여 점의 각종 유물이 나왔으며 문자가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었다. 유물들은 미륵사지가 미륵불이 세상에 내려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건립된 것임을 보여준다.

사적 제150호. 〈삼국유사〉 권2 무왕조의 기록에 따르면 백제 무왕(600~641)이 왕비와 함께 사자사(獅子寺)로 향하고 있었을 때 큰 연못 속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나자 왕비가 이곳에 절을 세우기를 소원하여 못을 메우고 탑과 법상, 미륵삼회전, 낭무(廊廡)의 건물을 건립하고 미륵사라 이름했다고 한다. 이 절이 언제 없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17세기경에는 이미 폐사되었으며 현재는 반쯤 파손되어 있는 서탑과 당간지주 등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미륵사지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서 일제강점기 때 이미 조사되기 시작했으며 그뒤 1980년대 문화재관리국의 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본격적인 발굴조사의 결과로 동탑과 서탑 사이에 목탑을 세워서 일직선상에 탑 3개를 배열하고, 각 탑의 북쪽편에 금당을 1개씩 둔 가람배치였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한 쌍의 금당과 석탑에는 각기 회랑이 둘러져 있어 탑과 금당을 1개의 절로 생각할 때 마치 3개의 절이 모여 있는 듯한 3원식(三院式)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3개의 금당에 모두 지하공간이 있는 특이한 구조의 건물이다. 이 절터에서는 막새기와·토기·불상 등을 비롯하여 1만여 점의 각종 유물이 나왔으며 특히 '미륵사'라든가 '국5년경진'·'요봉원'(姚奉院)·'지원4년'(至元四年)·'천력3년'(天歷三年) 등의 문자가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었다.

이 미륵사지는 미륵삼존불의 출현으로 절을 짓게 된 창건동기나 미륵이 이 세상에 와서 3번의 설법을 하기 위한 3군데의 장소를 마련하고 있는 점, 그리고 미륵이 머무를 장소로 금당에 지하공간을 설치했다는 점 등에서 미륵불이 이 세상에 내려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미륵하생신앙).

익산 미륵사지 석탑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석탑.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4.2m. 미륵사 절터의 서쪽에 있다. 한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탑으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양식을 석재로 바꾸어 표현한 것이다. 이 석탑은 <삼국유사>에 보이는 기록이나 석탑의 양식적 특징으로 볼 때 백제 말기인 무왕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측된다.

미륵사지석탑
미륵사지석탑

낮고 작은 기단 위에 건립되었으며 각 층의 탑신은 각 면이 3칸으로 되어 있다. 1층 탑신은 네 귀퉁이에 배흘림이 분명한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탱주를 새겼으며 각 면의 중앙에는 내부로 통하는 문이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내부 중앙에는 십자로 교차되는 점에 탑을 지탱하는 석조의 찰주가 세워져 있다. 각 층의 옥개는 얇고 넓은 편으로 중앙에서 직선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끝부분에서 약간 위로 올라간 모습이며 옥개석은 3단받침으로 되어 있다. 2층 탑신은 1층에 비해 높이가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옥개부분도 위로 올라갈수록 체감되어 전반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1915년 조선총독부가 붕괴되어 있는 6층 탑의 붕괴를 막기 위해 임시적으로 시멘트로 보수했다. 이후 1999년 4월 국가문화재위원회가 해체 보수 정비를 결정했다. 이에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전라북도는 해체 보수 정비를 위해 가서덧집 공정을 완료했고, 2001년 10월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해체 보수정비를 시작했다. 본래 이 탑은 7층 또는 9층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2004년 12월 동탑의 복원 과정에서 미륵사지 석탑이 본래 9층이었음을 밝혀주는 부자재가 발견되었다.

복원은 본래 2007년 완료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동양 최대의 석탑이며 국내 최고의 석탑인 미륵사지 석탑의 역사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해체 과정이 신중하게 이루어졌고, 동시에 백제의 건축기술과 관련된 학술연구가 진행되면서 작업 일정이 지연되었다. 2009년에는 미륵사를 창건한 인물이 ‘좌평 사택적덕(沙宅績德)의 딸이자 백제 왕후’이며, 사찰 건립 시기는 639년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사리봉영기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후 18년만인 2019년 3월 5일 공사용 가설덧집을 벗고 보수작업이 완료되었다. 수리과정에서 기존 석재를 포함한 부재 1천627개를 조립했으며, 준공된 상태에서는 높이 14.5m, 폭 12.5m, 무게 약 1천830t이다. 층수는 9층과 6층의 논란 끝에 기존 탑의 자취에 따라 6층으로 준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