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레방아

물레방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전래 농기구의 일종.

물레방아
물레방아
물레방아
물레방아
통방아
통방아

물레방아라는 말은 물레와 방아의 복합어이다. 한국 재래농기구 중 탈곡이나 정미 또는 제분에 이용되었던 도구로는 돌확·맷돌·절구·디딜방아·연자매·물레방아 등이 있는데, 그중 물레방아는 가장 늦게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물이 비교적 풍부한 마을에는 대개 물레방아가 하나씩 있어서 공동으로 활용했다.

대부분의 물레방아는 물이 떨어지는 힘으로 바퀴가 돌아가게 되어 있다. 드물게는 물이 바퀴 밑으로 흐르는 힘을 이용하는 것도 있는데 특별히 '밀방아'라 부른다. 작동원리는 바퀴를 가로지른 방아굴대 양쪽에 달린 눌림대가 바퀴가 돌아감에 따라 집안에 장치된 방아의 한쪽 끝인 살개목을 지그시 눌러 방아공이를 들어올린다. 따라서 1바퀴 돌 때 방앗간의 방아공이가 1번 찧게 되는데 방아 2개를 나란히 놓았기 때문에 마치 마차를 끄는 2마리의 말머리와 같이 방앗간 속에 장치된 2개의 방아공이가 오르내리게 된다.

옛날 한국 농업은 물사정이 어려웠던 탓으로 물레방아를 돌릴 용수가 부족한 곳에서는 설치할 수가 없었다. 1930년대에 바퀴의 크기와 방앗간 내부도 변화했고, 1950년 이후로는 바퀴가 철제로 바뀌기 시작했다. 물레방아의 용도도 곡물가공뿐만 아니라 발전용·제지용·직조용·떡방아·메주 및 고추방아용 등으로 다양해졌다. 농촌의 전력화가 촉진되면서 물레방아도 급격히 사라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