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생

문생

다른 표기 언어 門生

요약 고려시대 과거에 급제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과거의 고시관인 지공거들을 좌주라 부르는 데 대한 상대적인 칭호였다. 좌주·문생제는 국왕이 직접 시험을 관장한 복시가 자주 실시되었던 고려 전기에는 지공거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약했으므로 크게 발달되지 않았으나, 왕권이 약화된 무인집권기에 이르러 강화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의 급제자들끼리도 동년회를 만들어 좌주를 중심으로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좌주·문생의 관계는 부자간과 같이 긴밀해 문생은 좌주에게 일생 동안 스승에 대한 예를 다했다. 따라서 좌주가 고위직에 오르면 문생이 출세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문생도 출세를 못했다. 고려 후기에 와서는 좌주의 좌주, 문생의 문생으로 확대되어 하나의 문벌을 형성했으며, 이를 세력기반으로 정치를 주도하면서 여러 가지 폐단을 낳기도 했다.→ 좌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