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

묵자

다른 표기 언어 Mo-tzu , 墨子

요약 중국 묵가 학파의 저작 총집.
(병). Mozi. (웨). Motzu.

〈한서 漢書〉 예문지에 〈묵자〉 71편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것은 53편으로 절용(節用) 상·중편과 절장(節葬) 상·중편 등의 18편이 빠져 있다.

〈묵자〉는 3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① 겸애(兼愛)·비공(非攻)·천지(天志)·명귀(明鬼)·상현(尙賢)·상동(尙同)·비악(非樂)·비명(非命)·절장·절용의 10편은 묵자의 주요사상을 대표하고 있다. ② 경주(耕柱)로부터 공수(公輸)에 이르는 각 편은 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술한 것이다. ③ 경(經) 상·하, 경설(經說) 상·하와 대취(大取)·소취(小取)의 6편을 묵변(墨辯)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후기 묵가철학과 과학의 저작으로 인식론·논리학·자연과학에 관한 묵가의 연구성과를 개괄하고 있다.

그중 소취 편에서는 변론(辯論)과 추리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을 탐구하고 있어 중국 고대 논리학사의 진귀한 문헌이다. 〈묵자〉의 가장 오래된 판본은 명대 정통연간(正統年間:1436~49)의 도장본(道藏本)과 연성관(燕城館) 활자본이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교주본(校注本)은 청대 손이양(孫詒讓)의 〈묵자한고 墨子閒詁〉이다. 이밖에 오육강(吳毓江)의 〈묵자교주 墨子校注〉와 고형(高亨)의 〈묵경교전 墨經校詮〉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