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조화

모음조화

다른 표기 언어 vowel hamony , 母音調和

요약 현대 국어의 모음조화는 부사 중에서 의성어·의태어, 그리고 몇몇 형용사에 나타난다. '소곤소곤·촐랑촐랑·파랗다·노랗다'에서는 '오·아'가 한 종류이고 '수군수군·출렁출렁·퍼렇다·누렇다'에서는 '우·어'가 한 종류이다. 앞의 것들을 양성모음, 뒤의 것들을 음성모음이라 한다. 양성모음끼리 어울린 단어는 가볍고 밝은 느낌을 주고 음성모음끼리 어울린 단어는 무겁고 어두운 느낌을 준다. '으'는 단어 첫머리에서는 음성모음이지만 다른 곳에서는 중성모음이다(보글보글·부글부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도 모음조화가 있다. '보아·좁아'에서는 '오·아'가 양성모음이고, '주어·서(서어)·믿어·세어·깨어·쉬어·되어·늦어' 등에서는 '우·어·이·에·애·위·외·으'가 음성모음이다.

어떠한 모음들이 같은 종류에 속하는지는 언어 및 시대에 따라 다르다.

현대국어의 모음조화는 부사 중에서 의성어나 의태어, 그리고 몇몇 형용사에 나타난다.

'소곤소곤·촐랑촐랑·파랗다·노랗다'에서는 '오·아'가 한 종류이고 '수군수군·출렁출렁·퍼렇다·누렇다'에서는 '우·어'가 한 종류인 것을 알 수 있다. 앞의 것들을 양성모음(陽性母音), 뒤의 것들을 음성모음(陰性母音)이라 한다. 부사나 형용사에 나타나는 모음조화는 어감의 차이를 가져온다. 양성모음끼리 어울린 단어는 가볍고 밝은 느낌을 주고 음성모음끼리 어울린 단어는 무겁고 어두운 느낌을 준다.

'으'는 단어 첫머리에서는 음성모음이지만(슬쩍·살짝) 다른 곳에서는 양성모음과도 어울리고 음성모음과도 어울리는 중성모음이다(보글보글·부글부글·보드랍다·부드럽다).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예도 있다(깡충깡충).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을 때도 모음조화가 있다. '보아·가(가아)·좁아'에서는 '오·아'가 양성모음이고, '주어·서(서어)·믿어·세어·깨어·쉬어·되어·늦어·꺼(끄어)' 등에서는 '우·어·이·에·애·위·외·으'가 음성모음인 것을 알 수 있다.

'아'를 가진 어간은 받침이 있을 때 '아'보다 '어'와 연결되는 일이 많다(잡어·남어). 또 '속았었다·웃었었다'에서 2번째 오는 '었'은 '았'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고 항상 '었'이다.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더 광범위하고 엄격했다. 모음의 종류도 오늘날과 달라서 '오·이미지·아'가 양성모음, '우·으·어'가 음성모음이었고 '이'는 중성모음이었다. '애·외'는 현대국어와 달리 이중모음[aj, oj]이어서 양성모음으로 쓰였다.

모음조화가 지켜졌던 범위는 첫째, 한 형태소 내부(즉 단일어 내부)이다.이미지이미지(강)·나모(나무)·다이미지(다섯)·놀애(노래)·가마괴(까마귀)·구룸(구름)·허믈(허물)·여숫(여섯)·번게(번개), 드물지만 '몬져(먼저), 어마님(어머님), 여라(여러), 벼로(벼루)'와 같은 예외도 있다.

둘째, 명사에 조사가 붙을 때이다. 이미지이미지-이미지, 구룸-을, 놀애-이미지, 번게-는, 다이미지-이미지로 여슷-으로, 낮-이미지, 밑-의 외에 '밧긔'(밖에)와 같은 예외도 있다. 셋째,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아/어, 오/우, 이미지/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거나 접미사 '-이미지/의(명사 만듦), -오/우-(사동사 만듦), -오/우(부사 만듦), -이미지/브-(형용사 만듦)'등이 붙을 때이다. 막-아, 먹-어, 막-오려, 먹-우려, 막-이미지니, 먹-으니, 높-이미지→ 노이미지(높이), 길-의-기릐(길이), 돋-오-다→도도다(돋우다), 기울-우-다→ 기울우다(기울이다), 돌-오→ 도로, 넘-우→ 너무, 앓-이미지-다→ 알이미지(아프다), 슳-브-다→ 슬프다.

여기서도 '펴-아, 없-아, 덜-오-ㄹ디니→ 더롤디니(덜 것이니), 엱-이미지니(얹으니)'와 같은 예외가 있다.

한자어나 두 형태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복합어에서는 모음조화가 지켜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즁이미지(衆生), 이미지 뎍(行蹟), 이미지-누의(맏누이), 목-숨, 듣-보다, -앒-셔다(앞서다), 낳-들다→ 나틀다(나이 들다) 나틀다(나이 들다), 이미지-두(한두) 등이 그 예이다.

16세기 이후 단어 첫머리가 아닌 곳의 '이미지'가 '으'로, '오'가 '우'로 차츰 변하게 되고 한자어나 복합어들이 모음조화를 잘 지키지 않는 것의 영향으로 모음조화는 점점 무너지게 되었다.

그결과 현대국어에 와서 모음조화는 아주 약화된 형태로 남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뒤집어 생각하면 중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모음조화가 더 광범위하고 엄격했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고대의 어느 시기에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이 모음체계상에서도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모음부류로 명확히 구분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모음체계에서는 전설모음 '이'가 중성모음이고 중설모음 '우·으·어'가 음성모음, 후설모음 '오·이미지·아'가 양성모음이 된다.

그후 모음추이가 일어나 모음체계가 다음과 같이 바뀌게 되자 모음조화상의 모음부류가 모음체계에서 모음을 가르는 어떤 특징과도 일치하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한 모음추이가 15세기 이전에 일어났는지 이후에 일어났는지 확실히 말할 수는 없다.

이 문제는 중세국어의 모음체계가 어떠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모음추이가 15세기 이전에 일어나고, 뒤의 것이 이후에 일어났다면 앞의 것이 중세국어의 모음체계가 되기 때문이다.

모음조화는 모음에 의한 모음의 동화현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곧-어'에서 '어'가 앞음절의 양성모음 '오'에 동화되어 양성모음 '아'로 바뀐 것으로 보거나 '굳-아'에서 '아'가 앞음절의 음성모음 '우'에 동화되어 음성모음 '어'로 바뀐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형태소 내부의 모음조화에서는 '이미지름'이 '이미지이미지'으로 바뀌었다거나 '출랑출랑'이 '출렁출렁'으로 바뀌었다거나 하기가 어려우므로 엄밀히 말해 모음조화는 일반적인 동화현상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모음조화는 우리말 외에도 터키어·몽골어 등 알타이어족의 언어와 헝가리어·핀란드어 등 우랄어족의 언어에 두루 나타난다. 따라서 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증거로 모음조화를 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