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셰셰 2세

모셰셰 2세

다른 표기 언어 Moshoeshoe II, Constantine Bereng Seeiso
요약 테이블
출생 1938. 5. 2, 바수톨란드(지금의 레소토) 타방
사망 1996. 1. 15, 레소토 말로티 산맥
국적 레소토

요약 레소토의 국왕.

군주의 역할을 명백히 하려고 투쟁했으며, 2번 망명하고 1번 퇴위당했다.

바수톨란드의 수도 마세루에 있는 로마대학에서 공부한 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앰플포스 칼리지와 코퍼스크리스티 칼리지에서 유학했다.

19세기 소토족의 왕국 바수톨란드를 세운 모셰셰(음쉐쉐)의 후손으로서 그의 이름을 물려받은 모셰셰 2세는 부친인 세이소 그리피스의 뒤를 이어 1960년 바수톨란드의 최고 수장이 됨으로써 자신의 왕위 상속권을 주장했다. 1966년 영국이 바수톨란드의 독립을 승인하자 그는 레소토의 초대 국왕 모셰셰 2세가 되었다. 백성에게 인기가 있었던 그는 명목상의 군주로 머물지 않으려고 애썼지만, 국내는 물론 레소토를 둘러싸고 있는 이웃나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적 반대에 부딪쳤다. 레소토 총리인 레아부아 조너선은 모셰셰 2세가 정치에 개입할 것을 우려해 1966, 1970년 2차례에 걸쳐 그를 가택연금했다. 결국 모셰셰 2세는 아내인 마모하토 왕비에게 섭정을 맡기고 8개월 동안 네덜란드로 망명할 수밖에 없었다.

모셰셰 2세는 정치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왕위에 복귀했다. 1986년 조너선은 저스틴 레카냐 소장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실각했고, 레카냐는 모셰셰 2세의 집행권을 정지하고 영국으로 망명하도록 강요했다. 망명생활을 하는 동안 모셰셰 2세는 민주적 선거를 실시하려고 애쓰다가 강제로 퇴위당했고, 왕세자 레치에 3세가 왕위를 물려받았다.

그러나 모셰셰 2세는 레소토 국민들에게 여전히 인기가 있어 1991년 일라이어스 라마에마 소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자 1992년 모셰셰를 귀국시키기 위한 계획이 세워졌다. 1993년 레소토는 자유선거를 실시했고 레치에 3세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넬슨 만델라의 도움으로 모셰셰 2세는 1995년 1월 25일 레소토 국왕으로 복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