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명종

다른 표기 언어 明宗 동의어 조선 제 13대 왕
요약 테이블
출생 1534(중종 29)
사망 1567(명종 22)
국적 조선, 한국
종교 유교(성리학)
재위 1545년∼1567년
시호 공헌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恭憲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능묘 강릉(康陵)

요약 조선 제 13대 왕이자 중종의 둘째 아들이며 인종의 이복동생으로 이름은 환, 자는 대양. 윤임 일파의 대윤과 윤원형 일파의 소윤 사이에서 왕위계승을 둘러싼 암투가 치열한 가운데, 명종이 즉위하여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소윤이 권력을 장악하여 대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다. 1553년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고 친정을 하게 된 명종은 문정왕후와 윤원형을 견제하고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자신의 세력기반을 지니지 못한 채 문정왕후와 윤원형의 전횡 속에서 왕위를 지켰다.

목차

접기
  1. 즉위와 을사사화
  2. 을묘왜변과 비변사의 상설기구화
  3. 왕권강화의 시도

즉위와 을사사화

중종의 둘째 아들이며, 인종의 이복 동생이다.

어머니는 중종의 2번째 비(妃)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이고, 비는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딸인 인순왕후(仁順王后)이다. 성종 때 싹튼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의 대립은 연산군 대의 무오사화·갑자사화, 중종대의 기묘사화로 나타나면서 단순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의 대립 차원을 넘어 양반관료층의 분열과 권력투쟁으로 발전해가고 있었다. 명종의 즉위는 이러한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종의 첫번째 비인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 소생의 세자 호(岵 : 뒤에 인종)를 왕위에 앉히려는 외척 윤임(尹任) 일파의 대윤(大尹)과, 문정왕후 소생의 세자 환을 즉위시키려는 윤원형 일파의 소윤(小尹) 사이에서 왕위계승을 둘러싼 암투는 중종 말년부터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1544년 인종의 즉위를 계기로 윤임 일파가 권력을 장악하자 이언적(李彦迪) 등 사림들이 정권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1545년 인종이 병으로 죽고, 명종이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윤원형 일파의 소윤이 권력을 장악하여 대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다. 숙청은 윤임이 중종의 여덟째 아들인 봉성군(奉城君)을 왕으로 삼으려 한다는 윤원형의 탄핵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문정왕후는 윤임·유관(柳灌) 등을 사사(賜死)케 하고 봉성군·이언적·노수신(盧守愼) 등을 유배시켰다.

그뒤에도 반대파에 대한 숙청이 계속되어 을사사화 이래 5~6년 동안 100여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죽었다.

을묘왜변과 비변사의 상설기구화

1555년 세견선(歲遣船)의 감소로 곤란을 겪어온 왜인들이 전라도지방을 침입한 을묘왜변이 일어났다.

이에 1510년(중종 10) 삼포왜란 때 설치되어 임시기구로 존속해오던 군사기관인 비변사가 상설기구로 되어, 청사가 새로 마련되고 관제상으로도 정1품 아문의 정식아문이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비변사는 군사문제를 총괄하는 관청으로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비변사 기능의 강화는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전쟁수행을 위한 최고기관으로서 정치·경제·군사·외교 등 군국사무 전반을 처리하면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최고권력기관으로서의 역할은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왕권강화의 시도

1553년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고 친정(親政)을 하게 된 명종은 문정왕후와 윤원형을 견제하고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이양(李樑)을 이조판서, 그 아들 이정빈(李廷賓)을 이조전랑으로 기용했다.

그러나 이양 등은 왕의 신임을 믿고 파벌을 형성하여 횡렴을 일삼았으며 사림 출신의 관료들을 외직으로 추방했다. 이에 사림들이 반발하자 이양은 사화(士禍)를 꾀했으나 심의겸(沈義謙)에게 탄핵당하여 1563년 숙청되었다. 결국 1565년 문정왕후가 죽기까지 20년 동안 명종은 자신의 세력기반을 지니지 못한 채 문정왕후와 윤원형의 전횡 속에서 왕위를 지킬 수밖에 없었다.

문정왕후가 죽은 뒤 윤원형과 보우(普雨)를 내쫓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여 정치를 하려고 노력했으나, 1567년 34세의 나이로 죽었다. 인순왕후와의 사이에 낳은 순회세자(順懷世子)가 일찍 죽어, 왕위는 중종의 9번째 아들인 덕흥부원군(德興府院君)의 셋째 아들 선조가 계승했다. 능은 강릉(康陵)이며, 시호는 공헌(恭憲)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