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콩 강

메콩 강

다른 표기 언어 Mekong River 동의어 팜 강, 지추 강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칭하이 성 남부 티베트 고원 동쪽에서 발원해
대륙 동남 아시아
국가 중국, 라오스, 타이,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길이 4,350 km

요약 동남아시아에 소재하는 강. 유역면적 81만㎢, 총길이 약 4,350㎞이다. 중국 칭하이 성 티베트 고원의 해발 4,900m가 넘는 곳이 발원지이며 팜 강·지추 강이라고도 한다. 상류는 길고 좁은 골짜기들를 깊이 형성하며 윈난 성을 가로질러 남쪽으로 향한다. 이어 라오스와 타이의 국경,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 일부를 흐르다가 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을 거친 뒤 호치민 남쪽 넓은 삼각주에서 남중국해로 흘러들어간다. 하류는 미얀마와 라오스 국경 남쪽에서 타이의 코라트 고원, 캄보디아 지역, 라오스와 베트남의 안남 산맥 서쪽 경사면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와 합쳐져 삼각주에서 메콩 강과 바사크 강으로 나누어진다.

메콩 강(Mekong River)
메콩 강(Mekong River)

메콩 강은 중국 칭하이 성[靑海省] 티베트 고원의 해발 4,900m가 넘는 곳에서 시작되며, 현지에서는 팜(Pam) 강 또는 지추(Dzi Chu) 강이라고 부른다.

전체 길이의 약 1/4을 차지하는 상류는 길고 좁은 골짜기들을 깊이 형성하며 윈난 성[雲南省] 고지대를 가로질러 남쪽으로 향한다. 이어 라오스와 타이의 국경, 미얀마와 라오스의 국경 일부를 흐르다가 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을 거친 뒤 베트남 호치민 시(옛 이름은 사이공) 남쪽 넓은 삼각주에서 남중국해로 흘러들어간다.

미얀마와 라오스 국경 남쪽에서 타이의 코라트 고원, 캄보디아의 대부분 지역, 라오스와 베트남의 안남 산맥 서쪽 경사면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와 합쳐져 흐르는 메콩 강 하류부분은 삼각주 지역에서 메콩 강과 바사크 강으로 나누어진다. 메콩 강이 지나는 윈난 성 남쪽 대부분 지역은 지형·토양·수종(열대 활엽수) 면에서 비슷한 양태를 보인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비앙찬)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이 메콩 강 둔덕에 자리잡고 있다.

캄보디아 중부 크라체에서 측정한 메콩 강의 연평균 방출량은 1만 4,000㎥/s이다. 유량(流量)은 주로 하류에 내리는 비와 관계가 있으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철에 따라 강우량의 변화가 나타난다. 7~10월까지 습기찬 남서 계절풍이 불 때 수면이 최고로 높아지며 강 상류 쪽에서는 8월이나 9월에, 남쪽 유역에서는 느지막이 10월에 최고 수준이 된다. 11~5월까지 북동 계절풍이 불어 날씨가 건조해지는 동안 수면이 가장 낮아진다.

주민이 4,500만 명 이상인 메콩 강 하류 유역은 삼각주 지역과 코라트 고원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지역이다. 이곳에 사는 주민 80% 정도가 농업에 종사하면서 메콩 강 유역의 주요농작물인 쌀을 생산한다. 그러나 건기가 오랫동안 계속될 때는 관개를 하지 않고서는 쌀을 재배할 수 없다.

1957년 국제연합극동경제위원회(ECAFE)가 메콩 강 개발사업을 시작했으며, 수력발전시설, 관개, 홍수조절, 배수, 항행, 수질관리, 용수공급시설 설치에 라오스·타이·캄보디아·남베트남의 협조를 요청했다.

1980년대초 라오스·타이·베트남은 메콩 강 유역의 새로운 수자원 개발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작업을 함께 했다.

지도
메콩 강